본문 바로가기

메뉴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2019 광주 세계수영선수권대회 연계 라이브러리파크 테마전 < 아시아의 표해록(Drifting Records of Asia) >

15세기~19세기 한, 중, 일, 베트남의 표해록을 통해 아시아 문화 교류를 살펴보는 전시

2019 광주 세계수영선수권대회 연계 라이브러리파크 테마전 < 아시아의 표해록(Drifting Records of Asia) >
  • 기간2019.7.9(화) - 10.27(일)
  • 시간(화-일) 10:00 - 18:00
    (수,토) 10:00 - 19:00
  • 장소문화정보원 기획관3
  • 대상모든 연령
  • 가격 무료
  • 예매자유 관람
  • 문의1899-5566
갤러리

소개
2019 광주 세계수영선수권대회 연계 라이브러리파크 테마전
아시아의 표해록(漂海錄): 바다 건너 만난 이웃 
Drifting Records of Asia: Across A Stormy Voyage

아시아에서 예로부터 바다(海)는 풍요로운 삶의 터전, 순환과 공생의 생태계, 혹은 가공할 만한 자연의 힘을 상징했습니다. 표해록(漂海錄)은 이와 같은 전통적인 아시아의 해양관(海洋觀)은 물론, 구사일생의 표류와 생환, 이국의 풍속과 문물까지 담겨 있는 일종의 해양 견문록입니다. 이러한 표해록은 오늘날 상상력과 박진감이 넘치는 문화 콘텐츠로도 각광받고 있습니다.

 

선박제조술과 항해술이 발달하지 않았던 과거, 바다 한 가운데에서 예기치 않게 태풍과 풍랑을 만나 좌초되거나 표류하는 일이 종종 있었습니다. 15세기부터 19세기까지의 동아시아 표해록은 아시아 각국이 풍랑을 헤치고 이어왔던 다양한 교류의 역사와 실상을 보여줍니다.

 

특히, 아시아 각지의 현지조사를 통해 발굴한 중국의 『해남잡저』를 비롯, 일본의 『조선표류일기』와 『청국표류도』, 베트남의 『일본견문록』 등 해외 자료 대다수가 한국에 첫 선을 보이는 자료입니다. 동시에 문헌에 수록된 아름다운 그림도 같이 전시하여 근대 동아시아의 풍경을 다양하게 소개하고자 하였습니다.

 

돌발적인 사건과 드라마가 가득한 표해의 문화 콘텐츠로서의 잠재력은 상당합니다. ‘표류의 발생-바다에서의 위기-표착-이국 생활과 송환 여정-귀국’이라는 서사 구조는 사람들의 상상력과 호기심을 자극합니다. 《아시아의 표해록》 테마전에서는 우리에게 잘 알려진 《로빈슨 크루소》, 《15소년 표류기》는 물론, 문순득의 아시아 표류 경험을 소재로 한 극단 갯돌의 <홍어장수 문순득 표류기> 공연 영상이나 영화 <캐스트 어웨이> 등 표해를 소재로 한 문학작품, 영화, 만화, 공연을 같이 소개함으로써 다양한 장르의 즐길 거리를 제공하고자합니다.

 

또한, 《아시아의 표해록》 테마전에서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더불어 사는 삶의 가치를 확산시키는 공공 문화예술 기관으로서의 책무를 다하고자 개관 이후 최초로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 리플릿을 제작, 배포합니다. 청각 장애인을 위한 수화 전시 해설 서비스 역시 운영될 예정입니다. 

프로그램
1부: 아시아의 표해록 Drifting Records of Asia

아시아 각국은 뱃길을 통해 꾸준히 교류를 이어왔습니다. 수세기에 걸쳐 개척된 항로를 오가던 내항인(來航人)들은 때로는 바다 한 가운데에서 예기치 않게 태풍과 풍랑을 만나 다른 세상으로 표류(漂流)하고는 했습니다. 표해록(漂海錄)은  벼슬아치, 어부, 승려 등 다양한 신분의 사람들이 표류했던 기록으로, 박진감 넘치는 바다에서의 경험과 이국의 풍속·제도 등이 담겨있습니다
1부에서는 15세기부터 19세기까지 아시아의 대표적 표해록을 소개합니다. 시기적으로는 선박 제조술이 가장 발달하고 무역과 문화 교류가 빈번해진 19세기에, 지역적으로는 동북아시아에서 가장 많은 표해록이 전해집니다.

한국은 지리적 특성상 제주도에서 출발한 표해 기록이 제일 많습니다. 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최부의 《표해록》 역시 제주도에서 출발한 기록입니다. 그 외에도 법성 스님의 표류 이야기와 류큐 및 필리핀, 마카오까지 갔던 기록 역시 풍부하게 전해지고 있습니다.
반면, 중국의 경우 전통적인 중화사상과 해금령 등으로 인하여 표해록이 매우 적습니다. 〈표박이역〉,《안남기유》, 《해남잡저》등 세 편 정도만 알려져 있습니다.〈표박이역〉은 상인이 일본에 떠내려간 경험을 적은 것입니다. 나머지 두 편은 유학자가 베트남에 표류한 기록입니다.
 

섬나라 일본의 표해톡은 그 수에 있어서 아시아에서 절대적 우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지리적으로 가까운 조선과 중국 본토에 표착한 경우가 제일 많으나 대만, 베트남, 필리핀, 인도네시아, 러시아, 태평양과 멀리 아메리카까지 간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청국표류도〉나 《조선표류일기》에 수록된 아름다운 그림들은 민속지의 역할을 톡톡히 합니다.

베트남의 경우《일본견문록》과 같은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구전 설화나 짧은 역사 기록에만 표해 관련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한편 1664년 제주도에  표류하여 14년간 지냈던 경험을 적어 유럽에 조선을 처음 소개한 하멜의《표류기》도 같이 소개합니다.

2부: 풍랑을 헤쳐 아시아를 만나다
Neighbors encountered across a stormy voyage

2부에서는 표해록을 분석하여 그 안에 담긴 아시아인의 다양한 문화 교류 양상 및 실상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15세기부터 19세기에 걸쳐 점차 전개된 해상 교류의 모습, 표류민의 증가와 이에 따른 송환 제도의 정착, 그리고 표류민이 귀향하기까지 목도했던 이국의 삶과 문화를 나누어 소개합니다.

 

먼저 표류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해류와 계절풍에 대한 소개를 시작으로 각국의 주요 표착지 및 송환경로, 그리고 당시 아시아인의 세계관 및 지리 인식을 보여주는 주요 지도를 차례로 설명합니다. 표해는 계절풍이 부는 6-8월 혹은 특정지역에 집중적으로 표착하였는데, 한국의 경우 중국 절강 지역에 다다르는 경우가 가장 많았습니다. 동아시아 표류인 송환 체제는 송대(宋代)부터 서서히 제도화되기 시작하였으며 구훌(救恤)과 무상 송환의 원칙 하에 한, 중, 일 삼국의 긴밀한 공조로 이루어졌습니다.

 

뒤이어 언어부터 의식주, 그리고 종교와 사상올 통해 아시아가 바라본 아시아의 풍경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표해록은 이국의 풍경과 생활상을 담고 있는 한 편의 민속지입니다. 외국에 나가는 일이 아주 드물었던 당시, 이웃 나라의 음식과 전통가옥, 언어, 의복은 호기심의 대상이었습니다. 표해록에는 산더미 같은 파도와 고래에서부터 옷, 부채, 삿갓, 기방, 관청까지 손에 잡힐 듯 생생한 아시아가 글과 그림을 통해 담겨있습니다.

3부 콘텐츠로 만나는 표해 ‘Drifting’ in Popular Culture Contents

갑작스런 재난, 이방인과의 만남, 고향으로의 귀환까지 표해를 소재로 한 콘텐츠를 선보입니다. 3부에서는 서사로도, 역사로도 흥미로운 표해를 소재로 콘텐츠를 선보입니다.

 

온갖 역경을 뚫고 귀환한 표해민들의 여정은 일종의 모험기 혹은 일대기적인 문학으로서 해양 문학과 기행 문학의 백미라 할 수 있습니다. 표해록과 표해를 소재로 한 소설에 나타나는 다양한 인간의 감정을 희, 노, 애, 락 네 글자로 나누었습니다. 두려운 폭풍우,끝을 알 수 없는 표류와 싸우며 구사일생 했을 때의 기쁨, 재물을 빼앗는 해적들과 우물 안 개구리 같은 협소한 세계 인식에 대한 분노, 생사고락을 같이 한 이들의 죽음으로 인한 슬픔, 그리고 귀향의 기쁨까지 출렁이는 감정의 굴곡은 우리 인생과 닮아 있습니다.

 

이렇게 희노애락의 감정이 가득한 ‘표해’라는 소재는 문학과 영화, 만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콘텐츠에서 쓰이고 있습니다. 가장 널리 알려진 무인도 표류기라 할 수 있는 소설 《로빈슨 크루소》, 배구공 윌슨으로 유명한 영화〈캐스트 어웨이〉,  조선에 표류한 영국인의 제주도 생활기를 담은 만화 《탐나는도다》, 그리고 신안 출신 어부 문순득의 모험을 담은 마당극 〈홍어장수 문순득 표류기〉가 그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문학, 영화, 공연 등 각양각색으로 표현한 표해 이야기를 이곳 3부에서 즐기시기 바랍니다.

전시작품
채정란 『해남잡저』
중국 1837 │13.1x22㎝
남개대학교 도서관
청국표류도
모리야마 테이지로 『淸國漂流圖』 中

일본 1814 │3권본 40x 2,224.3cm
와세대학교 도서관
야스다 요시카타 『조선표류일기』 권 7
일본 1824 7책 27×19cm
고베대학교 도서관
공간정보

문화정보원, 문화정보원 기획관3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예술극장, 민주평화교류원, 어린이문화원, 문화정보원, 문화창조원 중 문화정보원의 위치를 나타낸 지도
B3(지하3층) 기획관3 - 해당 층에는 7.극장3, 8.라이브러리파크, 9.북라운지, 10.극장 3로비, 11.기획관3, 12.대나무정원, 13.라운지, 14.블랙박스, 15.특별전시관, 16.아카데미 체험실1, 17.주제전문관, 18.ACC컬쳐숍, 화장실(2개 있음), 엘리베이터(3개 있음), 물품보관소(있음), 수유실/어린이휴게실(있음), 안내소(있음), 입구(2개 있음)

SNS공유

고객님께서 입력하신 예매자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예매자 정보
성명 ACC
성별
생년월일
연락처
이메일

ACC WEBZINE

웹진 구독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활용 동의가 필요합니다.

수집내용

  1. 1. 수집이용목적: ‘웹진ACC’ 발송
  2. 2. 수집항목: 이메일 주소
  3. 3. 보유(이용)기간: 2년
  4. 4. 동의거부에 따른 불이익:
    개인정보 수집 동의를 거부하실 수 있습니다. 다만,
    동의하지 않을 경우 ‘웹진ACC’를 받아보실 수 없습니다.
    개인정보는 위 수집·이용 목적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웹진을 포함한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 DM발송은 ACC홈페이지 회원가입을 통해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ACC 집콕꾸러미 온라인 이벤트

확인된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주시고 참여해주시기 바랍니다.

정보확인

  1. 이름: [미등록]
  2. 연락처: [미등록]
  3. 주소: [미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