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많은 섬들의 나라, 누산타라

20세기 중반, 인도네시아가 단일국가로 독립되기 이전 스스로를 ‘많은 섬들의 나라’ 누산타라로 부른 이들이 남긴 회화·조각·직물 등 200여 점을 통해 네덜란드 델프트시와 MOU 체결로 수증한 누산타라 컬렉션 소개

많은 섬들의 나라, 누산타라
  • 기간2019.11.22(금) - 2020.6.21(일)
  • 시간10:00 - 18:00
  • 장소문화정보원 기획관3
  • 대상모든 연령
  • 가격 무료(홈페이지 사전예매)
    ※ 전시 입장과 관련하여 사전예약 시스템을 통한 관람인원 제한, 여건 변화를 반영한 단계적 개관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 예매홈페이지
  • 문의1899-5566
갤러리

소개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개관 4주년 특별전을 통해 네덜란드 델프트시와 MOU 체결로 수증한 누산타라 컬렉션을 처음 공개합니다.

‘누산타라’는 ‘많은 섬들의 나라’ 라는 뜻을 가진 옛 자와어로 13세기 이후 역사적으로 가장 번성하여 현대 인도네시아의 뿌리로 여겨지는 마자파힛 왕국 사람들이 스스로를 부른 이름입니다.

이번 전시는 350여 종족과 450여 종의 언어를 바탕으로 다채로운 문화를 이룬 누산타라가 어떤 문화에 영향을 받았고, 어떠한 모습으로 각자의 공동체를 이루었으며, 현재 어떻게 전통을 보존하고 전승하는지 살필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문화다양성에 대한 이해와 존중은 다문화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에게 요구되는 중요한 가치입니다. 1945년 독립 선언 시기, 하나의 국가공동체로 묶이게 된 누산타라 사람들이 어울려 살아가는 모습을 통해 자유롭게 공존하며 융합하고 있는 아시아 문화의 역동성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전시 일정
  • 기간 :  2019.11.22.(금)~2020.6.21.(일)
  • 시간 :  (화-일) 10:00 – 18:00/ (수,토) 10:00 - 19:00 ※월요일 휴관
  • 장소 :  문화정보원 라이브러리파크 기획관3
전시안내
[1부] 바닷길, 섬으로 인도하다
누산타라는 인도양과 태평양을 동서로 잇는 중간에 위치하고 있어 예로부터 선박과 물자, 사람과 문화가 끊임없이 교차하는 공간이었습니다. 계절에 따라 바닷길에 실려 온 신화와 삶에 관한 이야기들은 누산타라의 세계관을 형성하는 씨앗이 되었고, 현지에서의 수용과 적응 과정을 거쳐 사회와 문화, 예술을 아우르는 상징체계로 꽃 피우게 됩니다.
[2부] 많은 섬들의 나라, 누산타라
누산타라의 서쪽에서 동쪽 끝, 많은 섬 곳곳에는 사람들이 남긴 삶의 흔적이 남아 있습니다. 그들의 생활과 맞닿은 건축‧복식‧의례도구‧생활용구에 담긴 믿음과 생각은 다채로운 모습으로 우리에게 펼쳐집니다.
또한 각기 삶의 터전에서 나름의 모습을 일구어 온 이들이 보이는 동일한 행동 양식들은 단일 국가 체제 이전 문화공유 집단으로 호흡해 온 누산타라를 상상하게 합니다.
[3부] 인도네시아, 세계와 교감하다
현대 인도네시아는 다양한 종족과 생활방식들이 한데 어우러져 있으며, 전통적 가치관을 담은 문화콘텐츠를 통해 사회통합을 이루고자 노력합니다. 인도네시아의 바틱‧크리스‧와양은 오랜 역사적 기원과 더불어 고도의 상징성과 예술성‧기술적 완성도를 가지고 있음에 따라 문화적 독창성과 가치를 인정받았고,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이들 종목의 창조적 계승을 위한 노력은 현대사회에서 전통의 실용성과 예술성을 탐색하는 토론의 장이 되고 있습니다.
전시자료
배 모형/프라후
20세기 후반 | 말루쿠 | 정향, 실 | 높이 35cm, 너비 44cm
돛과 노를 이용해 항해하는 전통선박 프라후(Perahu) 모형으로 말린 정향가지를 실로 꿰매어 만들었다. 정향 등 향신료 독점거래를 통한 경제적 이익에 대한 갈망은 대항해시대가 열리게 된 원인 중 하나로 누산타라가 서구에 알려지게 된 계기이다.
데위스리상
20세기 | 발리 | 동전, 나무, 실 | 높이 37cm, 너비 11.5cm
우앙 크펭(Uang Kepeng)이라 부르는 동전을 사용하여 꿰어 만든 조각상이다. 힌두신화에서 풍요와 곡식의 여신인 데위 스리, 발리에서는 칠리(Cili)라 부르는 형상을 표현했다.

발리의 지형은 경사가 급해 벼 농사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하나의 관개수로를 사용하는 수박(Subak) 공동체의 유대에 의해 계단식 논(Rice terrace)을 유지한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벼농사를 관장하는 신에 대한 믿음에 따른 사회적 결합이었다.

14세기 마자파힛 왕국의 지배기 이후에는 중국 동전이 금이나 은과 같은 가치를 가지게 되었고, 신성함의 지표로 받아들여지면서 동전이 제물로서 종교의식에 쓰이게 되었다. 이에 따라 신의 모습을 형상화하는데 동전을 사용하였다. 현대에도 고대 동전들은 의례의 봉헌물이자 공예품의 소재로 쓰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옛 모양을 본 떠 제작하기도 한다.
사원 행렬
20세기 전반 | 발리 | 캔버스에 물감 | 길이 80cm, 너비156 cm
발리 사원을 배경으로 사람들의 행렬을 그렸다. 사원 정문에서 신을 상징하는 물건이 담긴 가마를 맨 사람들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게보간(Gebogan, 제물)과 덮개를 씌운 두랑(Dulang, 접시)을 머리에 얹은 여인들과 깃발을 든 남자들, 오른쪽에는 북과 징 등을 들고 음악을 연주하는 악단이 표현되었다.
발리에는 2만여개가 넘는 사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1년이 210일인 발리 고유의 우쿠력에 따라 사원 건립을 기념하는 오달란(Odalan)과 힌두교 명절인 갈룽안 등 사원 의례가 끊이지 않아 일명 '신들의 섬'이라고 불린다.
와양 쿨릿
20세기 전반 | 자와 | 가죽 | 높이 61cm
‘그림자’라는 뜻의 와양은 현재 인도네시아에서 연행되는 모든 그림자극을 통칭하는 단어로 쓰이고 있다. 와양에 쓰이는 인형들은 다양한 양식이 있는데 3차원 나무 인형을 이용하는 와양 골렉(Golek), 평면 가죽 인형을 쓰는 와양 쿨릿(Kulit), 나무 가면의 와양 토펭(Topeng), 와양 골렉과 와양 쿨릿의 중간 단계로 볼 수 있는 와양 클리틱(Klitik) 등으로 나뉜다. 이 자료는 와양 쿨릿이며, 대지 여신의 아들이자 프라그요티사(Pragjyotisha)의 왕인 나라카수라(Narakasura)를 표현했다. 그는 강력한 왕으로 지상의 모든 왕을 정복한 영웅이었으나 인드라와 신들을 모욕하고 천상과 인간세계의 여인 16,100명을 포로로 잡는 횡포를 저질렀다. 비슈누 신의 8번째 화신인 크리슈나에 의해 목숨을 잃었다.
공간정보

문화정보원, 문화정보원 기획관3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예술극장, 민주평화교류원, 어린이문화원, 문화정보원, 문화창조원 중 문화정보원의 위치를 나타낸 지도
B3(지하3층) 기획관3 - 해당 층에는 7.극장3, 8.라이브러리파크, 9.북라운지, 10.극장 3로비, 11.기획관3, 12.대나무정원, 13.라운지, 14.블랙박스, 15.특별전시관, 16.아카데미 체험실1, 17.주제전문관, 18.ACC컬쳐숍, 화장실(2개 있음), 엘리베이터(3개 있음), 물품보관소(있음), 수유실/어린이휴게실(있음), 안내소(있음), 입구(2개 있음)

SNS공유

고객님께서 입력하신 예매자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예매자 정보
성명 ACC
성별
생년월일
연락처
이메일

ACC WEBZINE

웹진 구독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활용 동의가 필요합니다.

수집내용

  1. 1. 수집이용목적: ‘웹진ACC’ 발송
  2. 2. 수집항목: 이메일 주소
  3. 3. 보유(이용)기간: 2년
  4. 4. 동의거부에 따른 불이익:
    개인정보 수집 동의를 거부하실 수 있습니다. 다만,
    동의하지 않을 경우 ‘웹진ACC’를 받아보실 수 없습니다.
    개인정보는 위 수집·이용 목적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웹진을 포함한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 DM발송은 ACC홈페이지 회원가입을 통해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ACC 집콕꾸러미 온라인 이벤트

확인된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주시고 참여해주시기 바랍니다.

정보확인

  1. 이름: [미등록]
  2. 연락처: [미등록]
  3. 주소: [미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