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보물선 3.0 – 비밀을 여는 시간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2022 ACC <신기술기반 콘텐츠 랩> 쇼케이스 전시 <보물선 3.0 – 비밀을 여는 시간>을 개최한다.

보물선 3.0 – 비밀을 여는 시간
  • 기간2022.10.18(화) ~ 11.6(일)
  • 시간(화-일)10:00 ~ 18:00
    (수,토)10:00 ~ 20:00
    *매주 월요일 휴관
  • 장소문화창조원 복합전시 1관
  • 대상모든 연령
  • 가격 무료
  • 예매자유 관람
  • 문의1899-5566

소개
보물선 3.0 – 비밀을 여는 시간
2022 ACC <신기술기반 콘텐츠 랩>은 예술과 기술 융복합 분야 작가들이 참여하여 창의적 실험과 예술적 재해석이 담긴 콘텐츠를 연구·개발·창제작하는 랩 프로젝트이다. 권하윤, 다윈테크, 도로시엠윤, 방앤리, 양정욱, 이예승, 장유환, 스튜디오 엠버스703이 참여하여 신안선, 남도 고서화 등의 남도 문화유산을 소재로 신기술을 통해 현대 예술, 미디어아트의 시각으로 재해석하는 작업을 시도한다.

신기술기반 콘텐츠 랩의 과정과 결과를 공유하는 쇼케이스 전시 <보물선 3.0 – 비밀을 여는 시간>은 신안선의 역사에서 영감을 받은 스토리텔링으로 구성된다. 전시는 해상무역의 전성기에 바다를 누비던 신안선을 ‘보물선1.0’의 시기, 신안 앞바다에 침몰하여 바닷속 깊은 곳에 잠들어 있던 보물선이 발굴과 복원으로 세상에 다시 모습을 드러낸 신안선은 ‘보물선2.0' 시기로 상정한다. 그리고 새로운 기술을 만나 다시 태어난 신안선은 '보물선3.0'의 시기이며, 본 전시의 이야기가 출발하는 지점이기도 하다. 또한 ‘비밀을 여는 시간’이라는 부제는 보물선의 과거와 현재가 만들어낸 새로운 세계인 보물선 3.0에 소개된 작품들을 통해서 관객들이 예술가들의 생각과 고유의 시선을 찾아보기를 바라는 제안이다.

신기술 랩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지역 전공대학생 및 크리에이터가 전문가와 함께 진행한 메타버스, 터치 디자이너 창제작 워크숍의 결과물도 작가들의 작품과 같이 전시되어 남도 문화유산을 재해석하는 참신한 시선을 전한다. 이 밖에도 참여 작가별 작품이 만들어지는 과정과 기술에 관한 정보가 담긴 테크니컬라이더가 전시의 한 요소로서 함께 공개되어 전시 관람의 재미를 더한다. 또한, 오프라인 전시와 더불어 메타버스 전시도 동시에 진행되어 관객에게 온·오프라인 공간이 갖는 고유한 특성과 매력, 가능성을 예술적으로 경험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번 전시를 통해 관객이 과거의 문화와 유산들이 어떻게 신기술을 만나 현재에 와 있는지, 어떻게 현대의 아티스트들에게 영감을 불어넣어 새로운 모습과 담론으로 재형성되는지를 흥미롭게 살펴볼 수 있기를 기대한다.
작가 및 작품 정보
도로시 엠 윤 〈염원의 색동요술봉 탑 2〉
2022, 실시간 인터랙티브 AR, 실시간 프로젝션, 인터랙티브 사운드, 3D모델링
도로시 엠 윤의 〈염원의 색동요술봉 탑 2〉는 실시간 인터랙티브 증강현실Realtime Interactive AR , XR, MR와 같은 기술을 상호작용의 틀에 담아낸 융복합 프로젝트입니다.

관객은 앱을 통해 자신의 염원을 담은 텍스트와 함께 작가의 세계관을 구성하는 원소인 33개의 도형 중 3개를 선택합니다. 특히 이번 작품에서는 순천 구산용수제* 에서 사용된 화기와 물독항아리에서 영감을 받은 도형이 새롭게 반영되어 구성되었습니다. 관객이 선택한 도형은 곧 자신만의 요술봉으로 완성되고 작성한 염원과 함께 보물선 3.0 공간 위에 탑으로 세워집니다. 관객은 자신의 요술봉 탑과 염원에 대한 보물선 3.0의 축복 메시지를 감상하는〈1〉 한편 자신을 비롯한 참여 관객들의 염원이 담긴 기록의 탑을 살펴보며〈9〉 시간과 공간의 축적과 공존이 이루어지는 현장에서 자신과 함께 완성되는 작품이자 퍼포먼스를 경험합니다.

이 프로젝트의 중심이 되는 시각적 요소는 색동과 요술봉입니다. 색동은 삼국시대부터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중개자의 역할과 복을 기원하는 영매 역할을 하며 우리 곁에 자리해 있었습니다. 요술봉 또한 여러 매체와 창작물을 통해 현실의 소망을 가상의 세계에서 구현하는 판타지적 도구로 사용되어왔습니다. 관객은 중개적, 주술적 의미를 지닌 두 도구를 매개로 하여 과거와 현재, 미래를 아우르는 프로젝트의 공간에서 소망을 염원해 봄으로써 새로운 기술이 만들어내는 시공간적 체험을 하게 됩니다.

* 순천 구산용수제: 전라남도 순천시 주암면 구산리에서 마을의 화재를 예방할 목적으로 지내는 마을 제사. ‘화신제(火神祭)’ 또는 ‘물보 기제’라고도 한다. 순천구산용수제는 1997년 5월 15일에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32호’로 지정되었다. (출처:한국민속백과사전)
방앤리 〈멜란지, 신안 스파이스〉
2022, 3D 프린터, 3D 프린팅 도자기, 아카이브 영상, 혼합매체, 가변 설치, 작가 소장
〈멜란지, 신안 스파이스〉는 신안선에서 건져 올린 유물들의 수중고고학적 가치에 주목하고, 14세기 동아시아 경제와 무역, 문화 교류를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이야기에 착안한 작품입니다. 멜란지 melange, 불어에서, 격식 mélange 는 여러 가지의 혼합물 a mixture of different things 이란 뜻으로 프랭크 허버트 Frank Herbert, 미국의 SF 소설가의 듄 Dune, 사구 시리즈에 등장하는 가공의 물질입니다. 소설에서 수명을 연장하고 노화를 막으며 예지력을 키워주는 멜란지는 유럽의 대항해-시대를 촉발한 향신료 spice 의 역사적 배경과 맥락을 통해 이해할 수 있습니다.

‘향신료의 길’이라고도 불리는 해상 실크로드를 따라 유통되었던 신안선의 향신료와 도자기에서 영감을 받아 진행된 본 프로젝트에서 ‘멜란지’는 여러 가지의 혼합물이라는 본래의 사전적 의미와 문화적 맥락을 바탕으로 전통 예술에 현대적인 요소를 가미하여 새롭게 재해석됩니다. 이러한 재해석의 과정은 유물의 단순한 모방과 완성품의 설명적인 나열에 머무르지 않습니다. 고고학적 가치를 재발견하고 신기술을 접목함으로써 공예 장르를 넘어 문학, 음악, 퍼포먼스와 공연, 기술과 결합할 수 있는 새로운 예술의 관점과 행위로 제시됩니다.

미래와 환경을 생각하는 지속 가능한 창작 지침, 친환경 재료 사용과 제작방식 가이드라인에 따라 흙을 재료로 하는 3D 프린터를 사용한 작품이 제작되었습니다. 제작과정에서 신안해저유물 20여 점의 3D 스캐닝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양한 문화의 교류와 혼합을 보여주는 유물의 모티브와 패턴 연구, 형태와 기능의 탐구가 이루어졌습니다. 아울러 대지 예술의 영역과도 맞닿아 있는 예술 행위와 실천 방식을 담은 창작 과정을 전시장 내부에서 볼 수 있도록 워크숍, 기기 및 장치 디스플레이, 과정상의 작품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었습니다.
양정욱 〈우리는 어제를 힘껏 안고, 좁게 앉아, 익숙한 방향을 바라보았다〉
2022, 목재, 모터, 실, 전구, 가변 설치
교역을 하는 사람들의 마음을 주제로 한 〈우리는 어제를 힘껏 안고, 좁게 앉아, 익숙한 방향을 바라보았다〉는 신안선을 타고 교역을 하던 사람들의 일상과 삶, 그들이 느꼈던 감정에 대한 작가적 상상이 담긴 이야기와 시선으로 관객을 초대하는 작품입니다.

작가는 신안선을 바라보며 선미의 모습에서 ‘나아감’을, 후미의 모습에서 ‘받아들이는 개방성’을 포착했습니다. 새로운 것으로 나아가고 받아들이는 모습이 지금의 우리와 외형이 다를 뿐 본질이 같다고 생각한 작가는, 이를 선미와 후미가 반복되는 움직임을 특징으로 한 키네틱 작품에 담아냈습니다.

“바람은 공기의 모임이라고 생각해본다. 수많은 하나씩의 공기가 어떤 방향으로 같이 움직이는 순간 공기의 존재를 실감한다. 함께 모여 비슷비슷한 방향으로 공기들이 움직이는 것을 흔히 바람이라고 하는데 내가 이것을 설명해야한다면 바람은 공기들의 마음이라고 소개하고 싶다. 수많은 장소와 시간 중에 모두 모여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고 이내 사라지는 모습을 보고 있으면 보이지 않는 상실감에 마음이 뭉클해진다. 열심히 모여 바람이라는 것을 해낸 공기들은 대체 어디로 가버린 것일까. 각자의 사정으로 흩어진 공기 하나하나의 모습을 우리는 영영 알 수 없다. 바람이 사라진 자리에는 덤덤하게 흐르는 시간이 있다. 바람이 세게 불거나 없을 때도 시간이 그 자리엔 있다. 어떤 공기는 따뜻하게 오른쪽으로 지나가기도 했고, 어떤 공기는 차갑게 위로 지나갔다. 눈이 없는 시간에게 이것들이 무엇이었습니까 라고 물어본다면 아마도 이것들을 공기의 역사라고 할 것이다. 우리가 몰랐던 수많은 날 중에 어떤 때의 공기들은 좁게 모여 익숙한 방향으로 나아가고 사라지기를 반복하며 바람이 되었다. 사람들도 그 공기들과 비슷한 마음으로 모여 바람들을 만들어왔다. 그 간절한 바람은 위대한 것들을 만들고 사라지기를 반복했다. 지금 우리들의 바람도 어제의 바람과 크게 다르진 않다. 단지 더 커지거나 익숙해졌을 뿐이다.”

선미와 후미가 반복되는 작품의 움직임은 신안선이 출발한 1323년부터 2022년 현재까지의 공기 사람 와 바람, 그리고 그 바람이 지나간 자리에 남은 시간과 역사를 떠올리게 하며 지금을 살아가는 우리의 일상과 삶을 그 선상에서 마주하게 합니다. 신안선이 남긴 유물과 역사, 그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의 일상과 삶에 담긴 이야기는, 현재와 미래에도 계속되는 우리의 이야기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장유환 〈꿈〉
2022, 아나몰픽, 파티클, 4216 x 1200 px
〈꿈〉은 난파되었던 보물선이 꿈꾸던 아름다운 항해를 자연의 모방을 통해 표현하는 아나몰픽 작업입니다. 수많은 보물을 싣고 항구를 떠났던 신안선은 결국 그 목적지에 다다르지 못하고 풍랑을 맞아 물속으로 사그라들었습니다. 풍랑을 만나지 않았더라면 신안선은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꿈〉에는 넘실대는 파도를 가르며 평화롭게 바다 위를 항해하는 보물선의 아름다운 모습이 담겨 있습니다.

‘아름다움을 표현하기에 가장 좋은 방법은 최상의 아름다움을 모방하는 것’이라 생각하는 작가는 자연을 모방함으로써 생동감과 안정감이 있는 보물선을 표현합니다. 작가는 자연에서 유사성과 개별성이라는 두 가지 특징을 읽어내고 이를 표현하기 위해 파티클이라는 도구를 사용합니다. 〈꿈〉은 총 40여만 개의 파티클로 이루어져 있는데, 수많은 개체들이 서로 닮아 있으면서도 다르게 표현됩니다. 이러한 파티클들이 모여 조화롭고 다채로우면서도 생동감 있는 자연의 모습을 구현합니다. 이를 통해 어떠한 위태함이나 불안함이 없이 온전히 평화롭게 항해하는 보물선의 모습은 이 작품을 보는 사람의 마음에도 안정감과 평화가 깃들게 합니다.
다윈테크 〈신고서화 나들이〉
2022, 기가픽셀 이미지, 네비게이션, 프로젝션 매핑
남도는 예로부터 ‘예향’이라는 아름다운 이름으로 불렸습니다. 예향의 명성은 서화 미술뿐 아니라 문학과 음악 등 문화예술 전반에서 이루어진 성과에 서로가 힘입은 바입니다. 그중에서도 서화는 예향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남도의 서화가들은 한국회화사에서 각 시대를 대표하는 뚜렷한 미술양식을 선도하였고 그에 따른 수많은 작품이 남아있습니다.

조선 후기 공재 恭齋 윤두서 尹斗緖, 1668~1715와 낙서 駱西 윤덕희 尹德熙, 1685~1766 , 청고 靑皐 윤용 尹容, 1708~ 1740 등 해남 윤씨 3대 화가, 19세기의 소치 小癡 허련 許鍊, 1809~1892 과 미산 米山 허형 許瀅, 1862~1938 , 남농 南農 허건 許楗, 1907~1987 3대와 방손인 의재 毅齋 허백련 許百鍊, 1891~1977으로 이어지는 양천 허씨의 화맥, 그리고 화순의 사호 沙湖 송수면 宋修勉, 1847~1916 과 조카 염재 念齋 송태회 宋泰會, 1872~1942 , 서예가 설주 雪舟 송운회 宋運會, 1874~1965 등 여산 송씨 집안 문인들의 서화는 현대에 이르기까지 남도 서화의 주요 흐름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들의 활동 외에도 지역에서 활동하였던 수많은 이름 모를 예술가들이 있었고, 이들의 예술을 감상하고 아끼는 예술적 분위기가 있었기 때문에 남도는 예로부터 ‘예향’이라는 아름다운 이름으로 불렸습니다.

〈신고서화 나들이〉는 남도 고서화의 전통과 대를 이은 현대적 계승이 담긴 작품들을 기가픽셀 기술 대상을 분할 촬영하여 다시 하나로 이어붙이는 극고해상도 이미지 로 좀 더 가까이, 세밀하게 감상할 수 있는 작품입니다. 고전적인 말 그림을 재해석한 격조 높은 문인화를 선보인 윤두서의 작품, 붓질을 최소화하여 경물의 요점을 간략하게 표현하는 남종문인화의 진수가 담긴 소치 허련의 작품, 전통적인 남종문인화풍을 현대적으로 계승하여 ‘신남화’라 불리는 새로운 화풍을 만들었던 남농 허건의 작품, 사군자에 능했던 19세기 문인화가 사호 송수면의 작품까지 대를 이어 전통을 이어온 남도 고서화에 깃든 예술가의 정신과 미학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 협력국립중앙박물관, 국립광주박물관, 광주시립미술관
  • 자문 및 해설이선옥(의재미술관 관장)
이예승 〈증강괴석도 增強怪石圖_beta0.1〉
2022, 증강현실, 12채널 프로젝션 매핑, 4채널 사운드, 나무, 스테인레스, 돌
〈증강괴석도 增強怪石圖_beta0.1〉는 옛 그림 속에서 드러나는 다양한 형태와 필법의 괴석도의 이미지를 증강현실 기술을 사용해서 중첩된 가상현실을 보여줍니다. 신안군의 다도해에 위치한 많은 섬에서는 석산들과 기암괴석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기암괴석은 신안의 지형을 잘 보여줍니다.

그런가 하면, 괴석은 군자의 절개를 상징하는 것으로 문인화에서 자주 등장합니다. 남도미술의 뿌리라 할 수 있는 ‘운림산방 4대 허련, 허형, 허건, 허문 ’중 한 명인 소치 허련의 〈허련필괴석도 許鍊筆怪石圖〉나, 담백하고 예리한 필치로 바위의 특성을 간결하게 포착하는데 능했던 몽인 夢人 정학교 丁學敎의 〈정학교필괴석도 丁學敎筆怪石圖〉를 비롯하여 많은 문인화가들이 괴석이나 산의 이미지를 그렸던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였을 것입니다. 보물선 3.0 안에 보여지는 〈증강괴석도 增強怪石圖_beta0.1〉는 마치 기암괴석의 절벽풍경을 연상하게 하는 스크린과 구조물 안에서 2D, 3D 이미지로 만들어진 괴석들을 중첩시키고, 이것이 가상의 공간 속에서 다양한 형상을 만들어내도록 구성하였습니다.

이 작품은 과거의 유물, 예술작품들을 고해상도 디지털 이미지로 재현하는 데 머무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기술을 통해서 수묵의 정신성을 어떻게 동시대적 담론과 연결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장기 프로젝트의 시작입니다. 4차산업혁명을 이끈 핵심적인 기술들을 가지고 동양화의 다양한 기법들과 철학적인 요소를 표현하고 해석하는 일은 보물선 3.0의 연구주제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권하윤 〈피치가든 2〉
2022, VR 설치, 멀티플레이어, 프리 로밍, 3D 애니메이션, 컬러, 사운드
남도 고서화의 큰 맥락인 남종문인화가 지향하는 자연과 세계를 표현하는 세계관인 ‘이상경 理想境 ’에서 영감을 받아 펼쳐지는 〈피치가든 2〉는 꿈과 현실 사이의 중간 공간으로서 꿈같은 세계를 가상현실 공간에 구현하고, 관람객이 자유롭게 가상의 피치가든 무릉도원을 여행할 수 있도록 초대하는 작품입니다.

〈피치가든 2〉는 전통적인 진경산수처럼 자연을 실제 그대로 재현하지 않고, 3 D 컴퓨터그래픽으로 확대와 축소, 변형, 왜곡을 거쳐 만들어진 자연과 관객이 손을 직접 사용하여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회화 속 자연을 가상공간으로 재구성합니다. 관객은 HMD 장치를 쓰고 여러 사람이 함께 공간에 들어가 실제 산책을 하듯 자유롭고 여유롭게 공간을 거닐며 애니메이션 기법으로 만들어진 가상의 정원을 경험합니다.

가상의 정원을 걷다 보면 눈이 내리는 공간을 만나게 됩니다. 손을 움직이면 하늘에서 내리는 눈의 방향을 바꿀 수도 있고, 안개가 자욱한 어두운 숲에서 반딧불을 깨우면, 주변이 환하게 밝아지면서 곁에 있던 반딧불들이 춤을 춥니다. 이렇듯 비선형적인 가상공간 안에서 관객은 하나의 포탈에서 다른 포탈로 이동하면서 우연적인 것들을 발견하고 주변환경과 끊임없이 상호작용을 하게 됩니다. 가상현실 작품을 감상하고 있는 관객의 우발적인 동작은 빈 전시공간과 어우러져 여백의 미를 자아내며 비자발적인 무용처럼 예술적 행위로 재탄생합니다.

〈피치가든 2〉에는 조선후기의 대표적 화가로 불리는 심사정의 〈괴석초충도 怪石草蟲圖〉1747, 김홍도와 신위의 스승이었던 강세황의 〈심산강설도 深山降雪圖〉1761를 모티브로 만들어진 이미지들도 있어, 고즈넉한 산책의 과정에서 조선의 남종문인화의 흔적을 찾아보는 소소한 즐거움도 얻을 수 있습니다.
스튜디오 엠버스703 〈Legend of Meta-1004 island〉
2022, VR, PC, 프로젝터, 컨트롤러, Spatial 메타버스 플랫폼
〈Legend of Meta-1004 island〉 는 신안 앞바다에서 발굴된 신안선을 모티브로 역사적 스토리의 확장성과 작가적 상상을 더해 새롭게 탄생시킨 메타버스 공간입니다.

〈Legend of Meta-1004 island〉는 보물선 3.0 연구팀이 메타-1004섬을 발굴해달라는 신호를 감지하고 탐사에 나서는 이야기에서 출발합니다. 메타-1004섬은 수많은 보물과 예술작품을 실어나르던 보물선이 가라앉아있다는 전설이 전해지는 섬입니다. 관객은 보물선 3.0 연구팀과 함께 탐사에 나서는 주체가 되어 메타버스 공간을 경험합니다.

메타-1004섬은 수중고고학과 신안선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는 수중고고학연구소, 가상의 해저유물을 발견하는 공간, 보물선 3.0 오프라인 전시장에 있는 작품이 새롭게 재해석된 공간, 인공지능과의 협업으로 탄생한 공간과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공간, 메타-1004섬의 비밀을 품고 있는 섬의 꼭대기 공간까지 이어지며 과거와 현재, 미래의 시점을 넘나드는, 현실과 가상이 중첩되어 새롭게 탄생한 메타버스의 세계로 관객을 안내합니다
공간정보

문화창조원, 문화창조원 복합전시 1관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예술극장, 민주평화교류원, 어린이문화원, 문화정보원, 문화창조원 중 문화창조원의 위치를 나타낸 지도
B4(지하4층) 복합1관 - 해당 층에는 6.복합 1관, 7.ACT 스튜디오, 8.ACT 스튜디오, 9.ACT 스튜디오, 10.창제작스튜디오, 11.볼트, 화장실(4개 있음), 엘리베이터(3개 있음), 물품보관소(있음), 수유실/어린이휴게실(없음), 안내소(없음), 매표소(있음), 의무실(없음), 에스컬레이터(2개 있음)

SNS공유

고객님께서 입력하신 예매자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예매자 정보
성명 ACC
성별
생년월일
연락처
이메일

ACC WEBZINE

웹진 구독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활용 동의가 필요합니다.

수집내용

  1. 1. 수집이용목적: ‘웹진ACC’ 발송
  2. 2. 수집항목: 이메일 주소
  3. 3. 보유(이용)기간: 2년
  4. 4. 동의거부에 따른 불이익:
    개인정보 수집 동의를 거부하실 수 있습니다. 다만,
    동의하지 않을 경우 ‘웹진ACC’를 받아보실 수 없습니다.
    개인정보는 위 수집·이용 목적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웹진을 포함한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 DM발송은 ACC홈페이지 회원가입을 통해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ACC 집콕꾸러미 온라인 이벤트

확인된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주시고 참여해주시기 바랍니다.

정보확인

  1. 이름: [미등록]
  2. 연락처: [미등록]
  3. 주소: [미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