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C전문인 콘텐츠 발굴
PART 1 기본 (이론)
ACC전문인 <콘텐츠 발굴>은 교육에서 문화예술 현장활동(창작현장 참여·콘텐츠 발표)까지 하나로 연결하여 콘텐츠 기획, 시연, 실행에 대한 실무 전반을 배울 수 있는 멘토링 중심 프로그램입니다.

- 기간(모집) 2023. 3. 22.(수)~4. 9.(일) 23:00 (시간 엄수)
(오리엔테이션) 4.18.(화) 10:00 - 11:00 *비대면
(강의) 4.19.(수) ~ 5.31.(수) 4강좌 운영 - 시간상세 일정 참조
- 장소비대면 운영
- 대상문화예술 콘텐츠 기획·창작 관련 분야 전공 및 이에 준하는 자
- 인원총 120명 내외 (1강좌 30명 내외 X 4강좌)
- 신청홈페이지
- 문의1899-5566
asiaculturecenter2@gmail.com - 수강료무료
- 기타무료강좌는 주차권이 지급되지 않습니다.
소개
총 4강좌로 구성되어 있으며, 해당 분야에 대한 ‘기본 (이론)’을 비대면 방식으로 운영하는 교육입니다.
ACC전문인 <콘텐츠 발굴>은 교육에서 문화예술 현장활동(ACC 창작현장 참여 / 가상콘텐츠 발표)까지, 하나로 연결하여 콘텐츠 기획, 시연, 실행에 대한 실무 전반을 배울 수 있는 멘토링 중심 프로그램입니다.
- 맛보기 과정(교육 설명회)
- 1일 100명
- 대면 / ACC 국제회의실
- 3.22.(수) 융복합콘텐츠 맛보기
- 3.23.(목) 가상·실감콘텐츠 맛보기
- PART 1 기본(이론)
- 총 4강좌(각 30명 내외)
- 비대면 운영
- 4월 ~ 5월 (6~7회차 강연)
- PART 2 테크니컬 워크숍(실습)
- 총 3강좌 (각 15명 내외)
- 대면(실습) / ACC 교육실
- 7월 ~ 8월 (기숙사 지원)
* PART 1 수료자 가산점
- PART 3 현장활동
(ACC 창작현장 참여) - 각 3명 내외
- 총 3개 현장 (ACC 부서)
- 9월 ~ 24년 3월 (활동비 지원)
* PART 2 수료자만 참여 가능 - PART 3 현장활동
(가상콘텐츠 발표) - 총 2개 분야 콘텐츠 발표
- (가상전시 / 웹 AR 콘텐츠)
- ~10월 완료(ACT페스티벌 발표)
* PART 2 수료자만 참여 가능
- 분야- 문화예술 콘텐츠 기획, 창작, 테크니션,
- 시각예술 중심 융복합콘텐츠(예술+기술)
- 메타버스 플랫폼 기반 콘텐츠(가상전시 등)
- ACC에서 선보이는 문화예술 콘텐츠, 프로젝트 관련 분야 - 대상위 분야 전공자(대학(원) 재학·졸업, 또는 3년 미만 관련 분야 업무 경력·경험자
※ 문화예술 관련 분야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와 역량을 갖춘 분들 대상의 교육과정입니다.
(3년 이상 재직자 또는 비전공자에게는 해당 교육내용이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참여PART 1은 대상자 누구나 입문 가능, PART 2는 PART 1 수료자에게 가산점을 부여하여 선정, PART 3는 PART 2 수료자만 지원 가능
※ 각 과정은 서류심사로 참여자 선정
PART 1 (기본 교육) | PART 2 (실습 교육) | PART 3 (현장활동) |
---|---|---|
4~5월(비대면 *줌) – 분야별 기본, 이론 교육 |
7~8월(대면 *ACC 스튜디오) – 테크니컬 워크숍 |
9~24년 3월(6개월) 인턴십 참여 *ACC 부서 ~10월 콘텐츠 발표 |
ACC 전시 연계 과정 | 테크니컬 워크숍 (디지털AV 장비 및 기계장치 실습) |
ACC 전시 현장활동 (콘텐츠사업과) |
ACC 융복합콘텐츠 연계 과정 | ACC 융복합콘텐츠 현장활동 (콘텐츠기획과) | |
ACC 테크니컬 현장활동 (콘텐츠기획과) | ||
가상전시 연계 과정(스페이셜 활용) | 가상전시 연계 과정(스페이셜 활용) | 가상전시 발표(스페이셜 활용) |
웹 AR 콘텐츠 연계 과정 | 웹 AR 콘텐츠 연계 과정 | 웹 AR 콘텐츠 발표 |
|
|
|
프로그램
- 오리엔테이션4.18.(화) 오전10시~11시 *전체 교육생 필수 참여
- 교육4.19.(수)~5.31.(수) 기간 中 매주 수요일 오후3시~5시
*단, 5.3.(수)은 → 5.4.(목)로 일정 변경하며, 5.17.(수)은 수업이 없습니다 - 운영비대면 방식 (온라인 화상회의 플랫폼 줌zoom)
일시 | 내용 | 강사 |
---|---|---|
4.18.(화) 10:00 ~ 11:00 | 오리엔테이션 (전체 교육생 필수 참여)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문화교육과 |
4.19.(수) 15:00 ~ 17:00 | 2000년 이후 도시생태 패러다임의 전환 | 심소미(독립큐레이터/연구자) |
4.26.(수) 15:00 ~ 17:00 | 생태 미술/건축/디자인의 전개 | 심소미(독립큐레이터/연구자) |
5.4.(목) 15:00 ~ 17:00 | 저항하는 자연 | 심소미(독립큐레이터/연구자)+ 권범철(연구자) |
5.10.(수) 15:00 ~ 17:00 | 전시기획에서의 생태적 전환 | 심소미(독립큐레이터/연구자) |
5.24.(수) 15:00 ~ 17:00 | 도시생태에 개입하는 예술 실천 | 심소미(독립큐레이터/연구자)+ 박찬국(공공미술 기획자/작가) |
5.31.(수) 15:00 ~ 17:00 | 생태적 실천의 가능성과 과제 | 심소미(독립큐레이터/연구자) |
계간 『문화/과학』 편집위원 및 콜렉티브 ‘리트레이싱 뷰로’에서 활동 중
- 오리엔테이션4.18.(화) 오전10시~11시 *전체 교육생 필수 참여
- 교육4.24.(월)~5.22.(월) 기간 中 매주 월요일 오후2시~4시
- 운영비대면 방식 (온라인 화상회의 플랫폼 줌zoom)
일시 | 내용 | 강사 |
---|---|---|
4.18.(화) 오전10시~11시 | 오리엔테이션 (전체 교육생 필수 참여)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문화교육과 |
4.24.(월) 오후2시~4시 | 뉴 미디어 환경과 예술 | 유원준 (영남대학교 트랜스아트과 교수) |
5.1.(월) 오후2시~4시 | 뉴 미디어 환경과 예술 - 열린 작품, 반응하는 환경(가칭) | |
5.8.(월) 오후2시~4시 | 뉴 미디어 환경과 예술 – 로봇, 예술이 되다(가칭) | |
5.15.(월) 오후2시~4시 | 뉴 미디어 환경과 예술 – 포스트-인터넷 시대의 예술(가칭) | |
5.22.(월) 오후2시~4시 | 가상·실감콘텐츠의 활용(가칭) | 이혜원(기어이 스튜디오 대표) |
CJ ScreenX(3면 스크린 기술) 창립멤버 및 태싯그룹(미디어아티스트),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예술종합학교 아트앤테크놀로지랩, 미국 VR스타트업 등 20년간 다수의 경력
*프로듀싱 작품 SXSW, Tribeca, IDFA, New Images 등 해외 유수 페스티벌 다수 공식 초청
- 오리엔테이션4.18.(화) 오전10시~11시 *전체 교육생 필수 참여
- 교육4.19.(수)~5.17.(수) 기간 中 매주 수요일 오후2시~4시
- 운영비대면 방식 (유튜브 실시간 중계 *교육생만 접속 가능)
일시 | 내용 | 강사 |
---|---|---|
4.18.(화) 오전10시~11시 *줌 zoom 운영 |
오리엔테이션 (전체 교육생 필수 참여)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문화교육과 |
4.19.(수) 오후2시~4시 *줌 zoom 운영 |
다와다 요코의 ‘얼굴’, ‘가시화되는 것’ | 최윤영(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 |
4.26.(수) 오후2시~4시 *줌 zoom 운영 |
도시-텍스트의 읽기와 쓰기의 주체, 플라뇌르 | 류재한(전남대학교 불어불문학과 교수) |
5.3.(수) 오후4시~6시 *유튜브 실시간 |
쓰레기 매립지의 생태적 틈새 | 이소요(미술작가) |
5.10.(수) 오후2시~4시 *유튜브 실시간 |
도시 생태계의 협업과 갈등 | 정재은(영화감독) |
5.17.(수) 오후2시~4시 *유튜브 실시간 |
환경으로서의 건축 | 지강일(한국예술종합학교 건축학과 교수) |
- 오리엔테이션4.18.(화) 오전10시~11시 *전체 교육생 필수 참여
- 교육4.25.(화)~5.30.(화) 기간 中 매주 화요일 오전10시~12시
- 운영비대면 방식 (온라인 화상회의 플랫폼 줌zoom)
* 스페이셜 입문자 참여 가능 (프로그램 소개부터 교육 시작)
일시 | 내용 | 강사 |
---|---|---|
4.18.(화) 오전10시~11시 | 오리엔테이션 (전체 교육생 필수 참여)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문화교육과 |
4.25.(화) 오전10시~12시 |
|
신보슬(토탈미술관 책임큐레이터) 하석준·노치욱(엠버스703 대표/작가) |
5.2.(화) 오전10시~12시 | ||
5.9.(화) 오전10시~12시 | ||
5.16.(화) 오전10시~12시 | ||
5.23.(화) 오전10시~12시 | ||
5.30.(화) 오전10시~12시 | Haily Grenet (큐레이터/Prizewinners’ AROUND VIDEO-Art Fair 디렉터) * 순차 통역으로 진행 |
삼성전자 VD 사업부 전략마케팅팀 마케팅커뮤니케이션그룹에서 해외 프로젝트 진행(2003~2010), 월간 퍼블릭아트 ‘뉴히어로’ 대상 수상(2015), 경기창작센터 ‘퀀텀점프’ 선정작가(2016) 이외 청주공예비엔날레,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등 다수 전시
단국대학교, 영남대학교 등 미디어아트, 컴퓨터그래픽 관련 강연 다수. 백남준 메가트론 <서울랩소디>(서울시립미술관 2022) 및 광주미디어아트 플랫폼(광주광역시 2020) 자문 역임.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 ‘기술입은 문화예술교육 프로젝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드림아트랩 4.0’ 등 다수 강연
모집요강
- PART 1 기본(이론): 2023. 3. 22.(수) ~ 4.9.(일) 23:00까지
- ※ 시간 엄수(4.9.(일) 23:01부터 접수 불가), ACC 홈페이지 접수 이외 지원은 불인정
- 접수 : ACC 홈페이지 內 ‘교육-콘텐츠발굴.실행-PART 1’ 페이지에서 지원 / 중복지원 불가 (1인-1강좌 지원)
- 지원서 작성: 접수 시 ‘참가지원서‘ 작성 有
- ①학력사항△학교명, 전공(부전공/복수전공 등) 또는 △현직업(부서/간단 업무) 기재 추천
* 기재사항 있을 시 우측 ‘졸업여부’ 체크 후 ‘학교명/전공‘ 기재 - ②활동사항△지원하는 교육 분야와 관련된 활동 중심으로 최근 일정 순으로 기재
△타기관 등 교육 경력 있을 시 수료증 발급 받은 건 중심으로 기재(ACC 전문인(또는 전문인력 아카데미) 교육경력 있을 시 수료증 번호 기재) - ③자기소개위 ‘학력사항/활동사항‘ 기재 내용에 대한 세부사항 또는 이외 본인의 전문성, 역량 등을 소개
- ④지원동기, 포부, 특기사항향후 관련분야에 대한 활동계획 등을 기재
- 발표: 4.14.(금) 오후5시 이후, ACC 홈페이지 ‘공지사항‘에 기재 예정 *일정에 따라 변경 가능
‘참가지원서’ 내용 기반, 아래 내용 중심으로 심사 진행
- 본 교육과정에 대한 적합성과 지원서 작성의 성실성 분야에 대한 기본 이해도 및 전문성
- 향후 활동 및 계획 등을 통한 성장·발전 가능성 및 역량
- *참가지원서 내용 중 허위사실이 확인되면 교육 참여기회를 박탈합니다.
- *참가지원서 내용의 성실성이 부족한 경우 적부심사에 1차 반영하여 심사합니다.
- 교육참여 접수는 중복지원 불가능합니다 (1인 1강좌 지원)
- PART 1 기본(이론) 교육과정은 모두 ‘비대면'으로 운영합니다.
강좌에 따라 ‘온라인 화상회의 플랫폼 줌(zoom) 또는 유튜브 실시간 중계’로 진행합니다.
교육 운영 등에 대한 세부내용은 4.18.(화) 오리엔테이션에서 설명 드립니다.
- 이메일 : asiaculturecenter2@gmail.com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