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2020 아시아문화포럼

아시아문화 담론과 지역 문화 담론의 융합 및 적용

2020 아시아문화포럼
  • 기간2020.10.20(화)
  • 시간10:00 - 18:00
  • 장소국제회의실(콘퍼런스홀)
  • 가격 무료
  • 예매온라인 자유 관람(사전 신청)
  • 문의1899-5566
  • 장소 2020 아시아문화포럼 유튜브 채널 온라인 실시간중계

소개
2020 아시아문화포럼
2020년 코로나19의 전세계적 대유행으로 인해 일상의 변화가 장기화되고 있는 요즘 <문명의 전환-뉴노멀시대, 문화연대의 가능성> 을 주제로 국내외 전문가가 참여하여 아시아 문화담론에 대해 폭넓게 논의합니다. 

특히 노암촘스키의 <재난사회와 문화적 연대>에 대한 특별대담을 비롯하여 세션별 문화이슈를 중심으로 다양한 논의의 장이 마련됩니다.
프로그램
작곡과 및 공연 내용 안내
2020 아시아문화포럼
개막식 10:00 - 10:15
  • 개막영상
  • 개회사(조인철 광주광역시 문화경제부시장)
  • 축 사(박태영 국립아시아문화전당장)
  • 환영사(지형원 아시아문화중심도시조성지원포럼 회장)
 
특별대담 <재난사회와 문화적 연대>
특별대담 10:15 - 10:35
  • 노엄 촘스키(미국/ MIT 명예교수), 이동연(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학과 교수)
사전녹화
주제세션 < KEYNOTE : 인류세, 위험사회, 헤게모니 > / (사회 : 이동연)
주제발제1 10:35 - 10:55
코로나19 사태와 사회경제 정책의 전환
  • 홍기빈(전환사회연구소 공동대표)
 
주제발제2 10:55 - 11:15
공동주의를 향해
  • 김재인(경희대 비교문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
 
주제발제3 11:15 - 11:35
시에 관한 새로운 상상
  • 정경운(전남대 문화전문대학원 교수)
 
토론 11:35 - 12:10
  • 토론 및 질의응답
 
마무리 12:10 - 12:30
  • 종합 정리
 
세션Ⅰ<문화의 위기와 새로운 변화의 가능성> / (사회 : 김하림)
발제1 13:30 - 13:50
위기의 시대 문화예술의 새로운 전환 모색
  • 양혜원(한국문화관광연구원 예술정책연구실장)
 
발제2 13:50 - 14:10
자동화 기술과 더불어 도래하는 우리 시대 문화의 위기
  • 김상민(문화사회연구소 소장)
 
토론 14:10 - 14:50
  • 심보선(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교수)
  • 이이남(미디어아티스트)
  • 전고필(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위원)
 
휴식 14:50 - 15:00
  • break time
 
세션Ⅱ <아시아 문화 연대의 방향> / (사회 : 김기곤)
발제1 15:00 - 15:15
코로나19 시대 취약한 자들의 연대 가능성
  • 김재형(한국방송통신대학교 문화교양학과 교수)
 
발제2 15:15 - 15:30
팬데믹 이후 재난인문학
  • 한순미(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부교수)
 
발제3 15:30 - 15:45
이 위기 안에서 예술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 박주원(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발제4 15:45 - 16:00
‘예술과 재난’ 프로젝트
  • 강제욱(사진작가, ‘예술과재난’ 팀 디렉터)
 
전체토론 16:00 - 16:20
  • 전체 토론 및 질의 응답
 
세션Ⅲ: 지역문화워크숍 <광주의 아시아 문화 구상> / (사회 : 강신겸)
발제1 16:30 - 16:45
코로나 19 이후, 도시 내 소외 연구
  • 신규나(전남대 건축학부 석사과정)
  • 이지현(전남대 건축학부 석사과정)
  • 이홍문(전남대 건축학부 4학년)
  • 김영범(전남대 건축학부 4학년)
 
발제2 16:45 - 17:00
예술치유의 역사, 뉴미디어를 마주하다
  • 오주현(전남대 문화전문대학원 박사과정)
  • 여예강(전남대 문화전문대학원 박사과정)
  • 강정웅(전남대 문화전문대학원 석사과정)
 
발제3 17:00 - 17:15
뉴노멀 시대의 콘텐츠 시장과 콘텐츠 제작자들의 생존 환경의 변화
  • 이나건(바닐라씨 PD)
  • 임수정(바닐라씨 대표)
  • 전창현(바닐라씨 영상감독)
  • 박지안(바닐라씨 매니저)
 
발제4 17:15 - 17:30
뉴노멀 시대, 국제레지던시의 지속가능성
  • 최윤미(뽕뽕브릿지 큐레이터)/li>
  • 윤태준(작가)/li>
  • 최하얀(독립큐레이터)/li>
 
전체토론 17:30 - 17:50
  • 전체 토론 및 질의응답
 
폐회식 17:50 - 18:00
  • 종합 정리
 
※프로그램 일정은 참가자 개인 사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초청자
특별대담
 
노엄촘스키
노엄 촘스키
  • MIT 공대 명예교수, 애리조나대학 교수수
  • 미국 언어학자이자 철학자, 인지과학자. 사회비평가이자 정치운동가이다. 변형생성문법 이론의 창시자로서 20세기 언어학에 가장 중요한 공헌을 한 학자로 꼽힌다. 1955년부터 MIT에서 강의를 시작해 현재는 MIT 언어학과 명예교수이자 애리조나 대학교의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언어학뿐 아니라 철학, 사상사, 당대의 이슈, 국제문제와 미국의 외교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 관해 글을 쓰고 강의해왔다. 국내 번역된 최근 저서로는 『세계는 들끓는다』, 『문명은 지금의 자본주의를 견뎌 낼 수 있을까』, 『촘스키, 인간이란 어떤 존재인가』 등이 있다.
이동연
사회자 이동연
  •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학과 교수
  • 중앙대학교 영문학과에서 〈메타비평론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고,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기획처장 및 전통예술원 한국예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서울문화재단 이사, 문화사회연구소 소장, 문화연대 문화정책센터 소장, 계간 <문화/과학> 편집인을 역임했다. 현재는 청와대 정책기획위원회 포용사회분과 위원, 광화문조성위원회 문화예술위원장, 글로벌 음악도시서울 플랜 추진위원장, 플랫폼창동61 총괄 예술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의 대표적인 문화 연구자 중 한 사람으로, 한국 문화 연구 삼부작인 『문화부족의 사회』, 『문화자본의 시대』, 『대안문화의 형성』을 비롯해 『아시아 문화연구를 상상하기』, 『문화연구의 종말과 생성』, 『예술@사회』, 『예술과 삶』 등이 있다.
주제세션
 
홍기빈
(발제1) 홍기빈
  • 전환사회연구소 공동대표
  • 재단법인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 소장과 협동조합 칼폴라니사회경제연구소 소장을 역임하였다. 서울대학교 경제학과와 외교학과 대학원을 졸업하였고 캐나다 요크대학교 정치경제학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저서로는 『살림살이 경제학을 위하여』, 『비그포르스, 잠정적 유토피아와 복지국가』, 『자본주의』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칼 폴라니 『거대한 전환』, 개럿스테드만 존스 『칼 마르크스: 위대함과 환상 사이』, 케이트 레이워스 『도넛 경제학』, 필립 반 파레이스 외 『21세기 기본소득』 등이 있다
김재인
(발제2) 김재인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
  •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철학과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경희대, 한예종, 홍익대, 한국외대 등에서 철학과 미학을 강의했다. 과학기술철학, 미학, 정치철학을 주로 연구하며 관심 주제로는 뉴노멀, 인공지능, 블록체인 등이다. 저서로는 『뉴노멀의 철학: 대전환의 시대를 구축할 사상적 토대』, 『생각의 싸움: 인류의 진보를 이끈 15가지 철학의 멋진 장면들』, 『인공지능의 시대, 인간을 다시 묻다』, 『혁명의 거리에서 들뢰즈를 읽자』, 『삼성이 아니라 국가가 뚫렸다』 등이 있다.
정경운
(발제3) 정경운
  •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교수
  • 전남대학교 문학박사. 현재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위원회 위원, 문화도시 심의위원, 자치분권위원회 중앙권한이양 전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연구 및 관심 분야는 공동체, 공유문화, 사회적 경제, 지역혁신, 지역문화정책 등이다. 저서 및 논문으로는, 『공동체의 경계』, 『구술로 엮은 광주여성의 삶과 5·18』, 「예술지원정책이 지역 예술생태계에 미친 영향 연구」, 「국내 공유주방 유형 및 특성 연구」, 「지역 독립서점 현황 및 활성화 방안」 등이 있다.
세션1
 
(발제1) 양혜원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연구본부 예술정책연구실장
  • 서강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과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예술정책연구실장으로 재직중이며, 2014년부터 지자체 합동평가 지표개발추진단, 2018년부터는 서울시 문화시민도시 정책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로 예술정책, 문화행정, 문화예술교육, 예술인복지, 지역문화 분야를 연구하고 있으며, 주요 연구로는 「예술의 가치와 영향 연구: 국내외 담론과 주요 연구결과 분석」, 「문화영향평가 표준평가도구 개발 연구」, 「사회문화예술교육 중장기 사업전략 연구」 등이 있다.
(발제2) 김상민
  • 문화사회연구소 소장
  • 서울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연세대학교에서 문화이론, 기술미학, 뉴미디어, 시각/영상문화, 대중문화 등에 대해 강의를 하고 있으며, 계간 『문화/과학』 편집위원과 한국문화연구학회 운영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산업디자인학과 학사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미학과 석사, 조지메이슨대학교 문화연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는 『디지털 자기기록의 문화와 기술』, 『전환기의 한국사회』(공저), 『데이터 시대의 언론학 연구』(공저), 『불순한 테크놀로지』(공저), 『속물과 잉여』(공저), 「신체, 어펙트, 뉴미디어」 등이 있다.
세션1 토론
 
심보선
(토론1) 심보선
  •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교수
  • 서울대학교 사회학 학·석사를 졸업하고 컬럼비아 대학교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은 사회학자이자 시인이다. 현재 연세대 커뮤니케이션대학원 문화학 전공 교수로 재직중이다. 경희사이버대 문화예술경영학과 교수와 인문예술잡지 《F》 편집위원 활동하고 있다. 예술사회학, 문화매개, 생활예술, 예술노동에 관심이 있으며 주요 저서로는 『그을린 예술』, 『생활예술: 삶을 바꾸는 예술, 예술을 바꾸는 삶』, 『오늘은 잘 모르겠어』, 『내가 누군가를 죽여야 한다면』 등이 있다.
(토론2) 이이남
  • 미디어 아티스트
  • 조선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순수미술 석사 및 미술학 박사,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영상예술학 박사과정 수료하였다. 벨기에, 뉴욕, 파리, 런던 등 60여회의 개인전을 열었고 런던 테이트모던 스타시네마, 2018년 남북정상회담 판문점 평화의 집, 독일 ZKM, 베니스 비엔날레, 광주 비엔날레 등 국내외 주요 단체전 800여회 참여하였다. 2018년에는 서울시 좋은빛상 ‘미디어파사드 콘텐츠 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하였고 2010년 제22회 선 미술상, 2005년 올해의 미술가상 대상, 2002년 하정웅 청년작가상 등을 수상하였다.
전고필
(토론3) 전고필
  •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위원
  • 광주를 대표하는 문화기획자이며 현재 담양에서 향토사 책방 ‘이목구심서’ 를 운영하고 있다. 경기대학교 대학원 관광경영학 석사 학위를 받고 전남대학교 대학원 문화재학 박사를 수료하였다. 아시아문화중심도시조성위원회 조성위원, 대한민국테마관광10선남도맛기행권역PM, 전라도지오그래픽 연구소장으로 활동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광주북구문화의집 상임이사와 대인예술시장 프로젝트 총감독(2010, 2014, 2016, 2017, 2018)을 역임하였다. 주요 저서 및 연구논문으로는 『무등산의 누정과 원림을 찾아서』, 「문화기획자, 지역 그리고 성장」이 있다.
세션2
 
김재형
(발제1) 김재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문화교양학과 교수
  • 전남대학교에서 사회학/중어중문학 졸업 후 서울대 사회학 석사,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사회학 박사과정 수료, 서울대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동북아센터 선임연구원, 의료역사연구회 편집위원, 한국사회사학회 학술위원, 비판사회학회 운영위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 자문위원을 역임하였다. 의료사회학, 역사사회학, 법사회학, 동아시아 사회운동 및 인권 등에 관심을 갖고 있다. 주요 저서 및 연구로는 『소록도 100년, 한센병 그리고 사람, 백년의 성찰: 역사편, 의료편』, 「질병에 의한 차별」, 「차별과 혐오를 넘어, 포용과 연대를 향하여」, 「말레이반도에서의 한센병 관리 정책의 형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 등이 있다.
한순미
(발제2) 한순미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부교수
  • 문학연구가로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재난인문학연구사업단(HK)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동아시아 재난인문학, 한국 근현대 문학, 한센병 역사문화 기록 등에 관심을 가지고 서사, 트라우마, 치유, 소수자와 타자, 공동체 등을 연구하고 있다. 주요 연구 논문은 「나무—몸—시체: 5.18 전후의 역사 폭력을 생각하는 삼각 운동」, 「분홍빛 목소리―한센인의 기록에서 혼종성이 제기하는 질문들」, 「세계를 바라보는 다초점 렌즈로서의 재난(인)문학」, 「비/국민의 차별과 배제: 재일한센인의 수기와 한일 요양소 기행」, 「재난 이후 인문학적 실천: 세월호의 ‘바람’에게」 등이 있다.
박주원
(발제3) 박주원
  •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국제교류 및 아시아 지역 집중 연구, 전시기획
  • 이화여자대학교 사학/동아시아학을 전공하고 영국 에딘버러 대학교 미술사 석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국립현대미술관에서 국제교류 및 아시아 지역 집중 연구와 전시기획을 맡고 있다. 제13회 광주비엔날레 <떠오르는 마음, 맞이하는 영혼> 협력 큐레이터로 활동하고 있다. 2019년부터 「Artfourm International, Critic’s pick」기고하고 있으며 「My Art Guide Seoul Gwangju Busan 2018」를 편집하였다. 주요 기획 전시로는 <2020 아시아기획전: 또 다른 가족을 찾아서>, 서울(2020), <대안적 언어-아스거 욘, 사회운동가로서의 예술가>, 서울(2019), <기울어진 풍경들, 우리는 무엇을 보는가>, 베니스(2019), <2018 아시아기획전: 당신은 몰랐던 이야기>, 서울(2018) 등이 있다.
강제욱
(발제4) 강제욱
  • 사진작가, <예술과 재난>팀 디렉터*<예술과 재난>프로젝트 : 아시아의 기후변화로 발생한 재난 지역에 예술가를 파견하여 3D프린터를 활용해 장난감을 고쳐주어 꿈과 미래를 되찾고자 하는 활동
  •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석사 학위를 받았다. ‘East to West: Asian Road’, ‘The Wall’,‘Silent Spring 침묵의 봄’ 등의 다수의 개인전과 ‘평창비엔날레’,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등 여러 기획전 및 단체전에 참여했다. 제5회 ‘사진비평상’ 작품부분 우수상을 수상하였고 월간 「Asiana Culture」, 「GEO」, 「한겨레신문」 등 다양한 매체에 세계 각국의 문화, 환경, 역사 등에 관한 다큐멘터리 사진과 글을 기고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더 플래닛』, 『젊음 나눔 길 위의 시간』, 『몽골: 초원에서 보내는 편지』 등이 있다.
사회
 
황병하
(개막) 사회자 황병하
  • 조선대학교 글로벌인문대학 아랍어과 교수
  • 한국외대 아랍어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 통역대학원 아랍어과 통번역학 석사와 문학박사(이슬람문화와 종교) 학위를 받았다. 현재 광주문화재단 이사와 아시아문화중심도시조성지원포럼 부회장 겸 이사를 맡고 있으며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킹사우드 대학교 방문교수, 이집트 카이로 아메리칸 대학교 방문교수, 뉴질랜드 웰링턴 빅토리아대학교 방문교수를 역임하였다. 주요 저서 및 연구논문으로는, 『아시아와 다문화사회』, 『이슬람역사』, 『아시아 실크로드 문화접변』, 「이슬람역사에서 종파주의 관련 용어의 등장 배경 연구」 등이 있다.
김하림
(세션1) 사회자 김하림
  • 조선대 글로벌인문대학 중국어문화학과 교수
  • 고려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홍콩 중문대학교 수석, 고려대학교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난카이대학 교환교수 역임하였고 1989년부터 조선대학교에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공저로 『중국현대문학의 이해』, 『중문학 어떻게 공부할까』, 『노신의 문학과 사상』 등이 있으며 그 외에도 루쉰 및 중국문학에 대한 다수의 연구논문을 발표했다.
김기곤
(세션2) 사회자 김기곤
  • 광주전남연구원 지역공동체문화연구실장
  • 전남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사회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광주전남연구원에서 지역공동체문화연구실장으로 재직중이다. 아시아문화중심도시조성지원포럼 기획위원, 한국광역문화재단연합회 부설 문화정책연구소 연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 및 연구로는, 『지역문화와 문화정치』, 「한국의 문화권 구성과 제도화」, 「광주 지역사회의 포용도시 수용과 정착방안」, 「지역 청년 커뮤니티 활성화 방안」 등이 있다.
강신겸
(세션3) 사회자 강신겸
  •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교수, BK21플러스사업단장
  • 서울대 환경대학원 조경학 석사, 한양대 대학원 관광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2020년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위원으로 활동하고 한국지역문화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관광학(문화관광마케팅, 생태관광, 농촌관광), 커뮤니티디자인을 주로 연구하며 주요 저서 및 연구논문으로는, 『그린투어리즘 이론과 실제』, 『지속가능한 관광실태 및 성공조건』, 『농촌관광』, 「문화예술공연 관람자의 서비스 품질 인식과 만족도, 행동의도와의 관계」 등이 있다.
공간정보

문화정보원, 국제회의실(콘퍼런스홀)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예술극장, 민주평화교류원, 어린이문화원, 문화정보원, 문화창조원 중 문화정보원의 위치를 나타낸 지도
B2(지하2층) 컨퍼런스홀 - 해당 층에는 2.국제회의실, 3.아시아문화연구소, 4.아시아문화아카데미, 5.로비, 6.컨퍼런스홀, 화장실(2개 있음), 엘리베이터(2개 있음), 물품보관소(없음), 수유실/어린이휴게실(없음), 안내소(없음), 입구

SNS공유

고객님께서 입력하신 예매자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예매자 정보
성명 ACC
성별
생년월일
연락처
이메일

ACC WEBZINE

웹진 구독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활용 동의가 필요합니다.

수집내용

  1. 1. 수집이용목적: ‘웹진ACC’ 발송
  2. 2. 수집항목: 이메일 주소
  3. 3. 보유(이용)기간: 2년
  4. 4. 동의거부에 따른 불이익:
    개인정보 수집 동의를 거부하실 수 있습니다. 다만,
    동의하지 않을 경우 ‘웹진ACC’를 받아보실 수 없습니다.
    개인정보는 위 수집·이용 목적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웹진을 포함한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 DM발송은 ACC홈페이지 회원가입을 통해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ACC 집콕꾸러미 온라인 이벤트

확인된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주시고 참여해주시기 바랍니다.

정보확인

  1. 이름: [미등록]
  2. 연락처: [미등록]
  3. 주소: [미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