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아시아문화포럼
아시아문화 담론과 지역 문화 담론의 융합 및 적용

- 기간2020.10.20(화)
- 시간10:00 - 18:00
- 장소국제회의실(컨퍼런스홀)
- 가격 무료
- 예매온라인 자유 관람(사전 신청)
- 문의1899-5566
- 장소 2020 아시아문화포럼 유튜브 채널 온라인 실시간중계
소개
특히 노암촘스키의 <재난사회와 문화적 연대>에 대한 특별대담을 비롯하여 세션별 문화이슈를 중심으로 다양한 논의의 장이 마련됩니다.
프로그램
2020 아시아문화포럼 | |||
개막식 | 10:00 - 10:15 |
|
|
특별대담 <재난사회와 문화적 연대> | |||
특별대담 | 10:15 - 10:35 |
|
사전녹화 |
주제세션 < KEYNOTE : 인류세, 위험사회, 헤게모니 > / (사회 : 이동연) | |||
주제발제1 | 10:35 - 10:55 |
코로나19 사태와 사회경제 정책의 전환
|
|
주제발제2 | 10:55 - 11:15 |
공동주의를 향해
|
|
주제발제3 | 11:15 - 11:35 |
시에 관한 새로운 상상
|
|
토론 | 11:35 - 12:10 |
|
|
마무리 | 12:10 - 12:30 |
|
|
세션Ⅰ<문화의 위기와 새로운 변화의 가능성> / (사회 : 김하림) | |||
발제1 | 13:30 - 13:50 |
위기의 시대 문화예술의 새로운 전환 모색
|
|
발제2 | 13:50 - 14:10 |
자동화 기술과 더불어 도래하는 우리 시대 문화의 위기
|
|
토론 | 14:10 - 14:50 |
|
|
휴식 | 14:50 - 15:00 |
|
|
세션Ⅱ <아시아 문화 연대의 방향> / (사회 : 김기곤) | |||
발제1 | 15:00 - 15:15 |
코로나19 시대 취약한 자들의 연대 가능성
|
|
발제2 | 15:15 - 15:30 |
팬데믹 이후 재난인문학
|
|
발제3 | 15:30 - 15:45 |
이 위기 안에서 예술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
|
발제4 | 15:45 - 16:00 |
‘예술과 재난’ 프로젝트
|
|
전체토론 | 16:00 - 16:20 |
|
|
세션Ⅲ: 지역문화워크숍 <광주의 아시아 문화 구상> / (사회 : 강신겸) | |||
발제1 | 16:30 - 16:45 |
코로나 19 이후, 도시 내 소외 연구
|
|
발제2 | 16:45 - 17:00 |
예술치유의 역사, 뉴미디어를 마주하다
|
|
발제3 | 17:00 - 17:15 |
뉴노멀 시대의 콘텐츠 시장과 콘텐츠 제작자들의 생존 환경의 변화
|
|
발제4 | 17:15 - 17:30 |
뉴노멀 시대, 국제레지던시의 지속가능성
|
|
전체토론 | 17:30 - 17:50 |
|
|
폐회식 | 17:50 - 18:00 |
|
초청자
![]() |
노엄 촘스키
|
---|---|
![]() |
사회자 이동연
|
![]() |
(발제1) 홍기빈
|
---|---|
![]() |
(발제2) 김재인
|
![]() |
(발제3) 정경운
|
![]() |
(발제1) 양혜원
|
---|---|
![]() |
(발제2) 김상민
|
![]() |
(토론1) 심보선
|
---|---|
![]() |
(토론2) 이이남
|
![]() |
(토론3) 전고필
|
![]() |
(발제1) 김재형
|
---|---|
![]() |
(발제2) 한순미
|
![]() |
(발제3) 박주원
|
![]() |
(발제4) 강제욱
|
![]() |
(개막) 사회자 황병하
|
---|---|
![]() |
(세션1) 사회자 김하림
|
![]() |
(세션2) 사회자 김기곤
|
![]() |
(세션3) 사회자 강신겸
|
공간정보
문화정보원, 국제회의실(컨퍼런스홀)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