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ACC 소셜디자인 랩
지구를 위한 창작 백신 :
ECO-CREATION VACCINE
우리에게 지속가능한 창작은 왜 중요할까요?
< 2021 ACC 소셜디자인 랩 >에서는 ‘지구를 위한 창작 백신 : ECO-CREATION VACCINE’이라는 주제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창작에 대한 릴레이 강연, 체험형 워크숍, 학생 참여 프로젝트, 상품 개발, 연구 등 다양한 방식의 실험을 시도합니다.

- 기간(릴레이 오픈톡) 2021. 9. 24.(금), 10.1(금), 10.8(금) , 10.22.(금)
(플라스틱 플레이 워크숍) 2021. 10. 8.(금) ~ 11. 7.(일)
(플라스틱 크리에이터 워크숍) 2021. 10. 16.(토)~ 10.17.(일) - 시간상세 내용 참조
- 장소ACC 라운지(문화정보원 B3)
- 대상모든 연령
- 좌석(오픈톡) 15석 * 현장신청
(플라스틱 플레이 워크숍) 회차별 30인 이내
(플라스틱 크리에이터 워크숍) 20인 이내 사전모집
*플라스틱 크리에이터 워크숍의 경우, 10. 16.(토) ~ 17.(일) 2일 간 통합 과정으로 운영됩니다.(홈페이지 사전예매 필수) - 가격 무료
- 예매홈페이지
- 문의1899-5566
minu@aci-k.kr
소개


‘지구를 위한 창작 백신’을 주제를 열리는 올해‘ACC 소셜디자인 랩’은 이해·실험·개발·소비·정착 등 5개 장으로 나눠 진행됩니다.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창작에 대한 대중 강연, 체험형 공동연수, 시제품 개발 경진대회, 새활용(업사이클링) 문화상품 개발, 연구 등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프로그램
- 일정2021. 9. 24.(금), 10. 1.(금), 10. 8.(금), 10. 15.(금) / 총 4회차 15:00~17:00
- 장소ACC 라운지 및 ACC 유튜브 채널
1회차 (9.24.금) 15:00~17:00 |
2회차 (10.1.금) 15:00~17:00 |
3회차 (10.8.금) 15:00~17:00 |
4회차 (10.22.금) 15:00~17:00 |
---|---|---|---|
지속가능한 라이프스타일 |
예술과 환경 | 업사이클링 디자인 |
대안적 실천 |
박진희의 지속가능한 환경이야기 박진희 / 배우·환경운동가 |
지구에 나타난 플라스틱 암석 뉴락 (New Rock) 장한나 / 아티스트 |
플라스틱 업사이클링 조형 예술 박상빈 / 업사이클링 아티스트 |
자투리로 ( )하기 천긍성 / 피스오브피스 대표 |
수퍼네이처 한석현 / 설치미술가 |
재활용 공병과 미디어아트의 만남 성백신 / 미디어 아티스트 |
버려지는 마스크를 의자로 제작하기까지 김하늘 / 업사이클링 아티스트 |
종이 한 장 차이 김보은, 김소은 / 어라우드랩 대표 |
환경을 놀이로, 쓰레기를 예술로 김강은 / 클린하이커스 대표 |
공연분야 공유경제 플랫폼, 공쓰재 최웅집 / (주)스탭서울 대표 |
프레셔스 플라스틱 상담소 이건희 / (주)프래그랩 대표 |
일회용품과의 전쟁 곽재원 / 트래쉬버스터즈 대표 |
![]() 박진희 배우·환경운동가 |
![]() 한석현 설치미술가 |
![]() 김강은 클린하이커스 대표 |
|
|
|
박진희의 지속가능한 환경이야기 에코라이프를 지향하게 된 계기와 일상 속 실천 방안 |
수퍼네이처 현대적 자연과 사회현상에 대한 관찰/창작자로서의 활동 및 작품 자료 이야기 |
환경을 놀이로, 쓰레기를 예술로 클린하이킹을 시작하게 된 계기와 일상에서 실천하는 지속가능한 방법, 그리고 작품으로의 표현 |
![]() 장한나 환경 아티스트 |
![]() 성백신 미디어 아티스트 |
![]() 최웅집 (주)스탭서울 대표 |
|
|
|
지구에 나타난 플라스틱 암석 뉴락 (New Rock) 플라스틱 암석 뉴락이 지구에 나타나게 된 이야기와 우리가 뉴락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 |
재활용 공병과 미디어아트의 만남 급증하는 폐플라스틱의 환경적 문제에 대응하는 창작자의 역할과 < 1652개의 여름들 > 제작 과정 소개 |
공연계 공유경제 플랫폼, 공쓰재 공연 후 재사용 가능한 세트·소품의 공유 플랫폼인 ‘공쓰재’ 소개와 예술가들의 참여를 위한 방안 모색 |
![]() 박상빈 업사이클링 아티스트 |
![]() 김하늘 업사이클링 디자이너 |
![]() 이건희 (주)프래그랩 대표 |
|
|
|
플라스틱 업사이클링 조형 예술 플라스틱 업사이클링 작업에 대한 소개와 플라스틱을 재료로 하는 입체 조형 작업에 대한 이야기 |
버려지는 마스크로 의자를 제작하기 까지 환경 오염에 대응하는 창작 방안과 버려진 마스크로 만든 의자 작품(Stack and Stack) 소개 |
프레셔스 플라스틱 상담소 ‘프레셔스 플라스틱’ 오픈소스를 기반으로 제작한 장비, 플라스틱 재활용 프로젝트 소개 |
![]() 6인 공동대표 피스오브피스 공동대표 |
![]() 김보은 & 김소은 어라우드랩 대표 |
![]() 곽재원 트래쉬버스터즈 대표 |
|
|
|
자투리로 ( )하기 자투리 잡화점 운영에서부터 pre-cycling 전시디자인 등 ‘자투리 순환’ 키워드로 돈벌기, 문화예술하기 프로젝트 소개 |
종이 한 장 차이 종이 한 장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종이 한 장 차이가 세상에 가져다 주는 변화 |
일회용품과의 전쟁 다양한 산업군에서 발생하는 일회용품 문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가 나아가야할 방향 |
- STEP 1 릴레이 오픈톡 유튜브 방송 시청하기
- STEP 2 내 SNS계정에 인증하기
커피 기프티콘을 드립니다.
- STEP 1 릴레이 오픈톡 라이브 방송 시청하기
- STEP 2 댓글로 질문 남기기
업사이클링 DIY 키트를
집으로 보내드립니다.
- 일정2021. 10. 8.(금) ~ 11. 7.(일) 13:00~17:00
- 장소ACC 라운지
- 안내※ 사회적 거리 두기 방침에 따라 회차별 30인씩 제한
※ 워크숍 참여 시, 플라스틱 병뚜껑 3개 지참

- 일정2021. 10. 16.(토) ~ 10. 17.(일) 13:00~16:00
- 장소ACC 라운지
- 수업(1회차) 수공구 배우기
(2회차) 전동공구 배우기
(3회차) 공압식 사출기(에어콤프레셔,전기 콘트롤러) 배우기
(4회차) 재활용 플라스틱 사출 실습 - 신청ACC 홈페이지를 통해 20인 사전 신청 모집
*플라스틱 크리에이터 워크숍의 경우, 10. 16.(토) ~ 17.(일) 2일 간 통합 과정으로 운영됩니다.(홈페이지 사전예매 필수)

- 일정2021. 10. 8.(금) ~ 11. 7.(일) 13:00~17:00
- 장소ACC 라운지
- 안내※ 사회적 거리 두기 방침에 따라 회차별 30인씩 제한
- STEP 1 ACC SNS 채널의 이벤트 게시글에
나만의 환경 활동 댓글 남기기 - STEP 2 댓글로 이벤트를 함께할 친구 소환하기
업사이클링 DIY 키트를 집으로 보내드립니다.
- STEP 1 플라스틱 병뚜껑 30개 이상 모으기
- STEP 2 플라스틱 플레이 워크숍에 참여하기
DIY 키트를 현장에서 드립니다.
- ’21. 8. 4. ACC·ACI, 호남·제주권 LINC+사업단 협의회 10개교, 업무협약 체결
- ‘21. 8. 5. ~ 16. 참여팀 모집 (20개 팀 / 총 78인 선발)
- ’21. 8. 17 ~ 11. 14. 의약·식품·제품·기술·공예 분야 등 20개 시제품/기술 개발
- ‘21. 9. 20. ~ 10. 30. 교육 및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
- ’21. 11. 15. ~ 11. 16. 전시회 및 경진대회 개최
학교 | 팀명 | 프로젝트 주제 |
---|---|---|
군산대 | These Days | · 리사이클링 의류 리메이크 제품 개발 |
새만금 ECO | · 군산 무라벨 생수 및 광고콘텐츠 제작 | |
우석대 | 까도까도 또 나와 | · 양파껍질을 이용한 젤리 건강기능식품 개발 |
당다라당당 | · 천연재료(조청)을 활용한 건강스틱 음료 개발 | |
전남대 | Hiwo | · 네튼(NetteN) / 폐그물어망을 활용한 업사이클링 제품 개발 |
Soutenu | · ‘재고의류’와 친환경비건소재인 ‘닥섬유’를 활용한 업사이클링 패션 제품 창작 | |
원광대 | 반오십 | · 공기정화 식물 추출물-제올라이트를 이용한 미세먼지흡착 페인트 개발 |
열났슈 | · 열전 효과를 이용한 웨어러블 타입 발전기 개발 | |
전북대 | 에코박스 | ·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박스형 장바구니 개발 |
오원 | · 내 손 안에서 자라는 나무, MOIST DRYER | |
제주대 | 경메 | · 전기차 폐배터리를 활용한 전력통합 관리시스템 개발 |
아미띠에 | · 리사이클원단으로 풀어내는 아미띠에의 아웃도어 | |
전주대 | 배친소 | · 재활용 가능한 친환경 소재 배달 용기 개발 |
pit-a-pat | · 여행용 캐리어를 업사이클링하여 보급용 인큐베이터 제작 | |
조선대 | Ordinary | · 패션산업폐기물(원단,안입는옷,비닐)을 업사이클링한 제품 개발 |
사직동 그린디자인팀 | · 사직동역사문화에대한 그린디자인 및 업사이클링 제품 개발 | |
목포대 | to. | · 업사이클링 패션 제품 제작 |
담쟁이덩굴 | · 친환경 그늘막 제작 | |
호남대 | 에코 테이스팅 | · 갑각류껍질을 활용한 친환경 고체형 조미료 |
HU콩고기 | · 콩고기를 활용한 밀키트 상품 |
- 개발·제작2021. 8. ~ 11.
- 유통·판매2021. 11.
- 장소ACC 컬쳐숍 및 ACC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

안내사항

- 지하철로 오시는 길 : 문화전당역에서 하차 (5,6번 출구)
- 버스로 오시는 길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또는 문화전당역 하차
- 전당 주차장 : 주차장A(B1~B3/예술극장 방향), 주차장B(B3~B4/어린이문화원 방향)
- 시작 안내부스에 설치된 열 체크 소독기계를 통해 전 관객 대상 체온을 모니터링 합니다.
- 측정 체온 37.5℃ 이상(발열 기준 온도)일 경우 입장이 제한됩니다.
- 체온 미측정 또는 측정 거부 시 프로그램 참여가 불가 하오니 협조 부탁드립니다.
- 마스크 미착용 시 프로그램 참여가 제한되오니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 후 참여해 주시기 바랍니다.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