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ACC 레지던시 결과발표전 《행성공명》
2023년 ‘듣기의 미래’를 주제로 연구, 창·제작한 레지던시의 결과물들을 소개하는 전시이다. 9명의 레지던시 참여자들은 소리 예술 매체를 다양한 방식으로 시도, 실험했으며 각각의 프로젝트들은 미래에 대한 공존과 연대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 기간2023. 11. 10.(금) ~ 11.30(목)
- 시간(화-일)10:00 ~ 18:00
(수,토)10:00 ~ 20:00
*매주 월요일 휴관 - 장소문화창조원 B4 복합스튜디오
- 대상모든 연령
- 가격 무료
- 예매자유 관람
- 문의1899-5566
소개
Planetary Pulse
《행성공명》은 이 행성에서의 공존과 미래에 대한 이야기를 소리를 통해 전달하고자 한다. 그 어떤 예술 장르와 다르게, 소리 예술에서는 발화하고 듣는 행위 자체가 예술의 내용으로 연결된다. 소리를 만들어 내는 행위는 타자를 향한 적극적 소통의 의지로써 공기 중에 뿌려지고, 다른 이에게 가서 닿는다. 그렇게 우리는 서로를 듣고, 연결된다. 공명(共鳴), 울림 등의 아시아의 전통적인 개념들은 이미 우리가 소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했으며, 그것이 만들어 내는 연대의 가치를 소중히 여겨왔음을 보여준다.
여기 2023년 ACC 레지던시의 결과물로 선보이는 프로젝트들은 두렵고 막연한 현실과 미래를 예술을 통해 바라본다. 미래에 대한 불안한 소문들, 모든 존재가 사라지고 기계만 남은 세계, 그것은 때로 새로운 차원에 대한 호기심으로 연결된다. 정상/비정상의 기준을 지우고, 오늘 수행하는 노동에 대해 함께 이야기하며 이 정다운 감나무 그늘 밑으로 돌아온 우리는 그 어떤 도구로도 소통할 수 있을 것이다. 모든 존재는 각자의 멜로디를 가지고 있으며 우리가 서로에게 귀 기울인다면 이 각자의 소리는 지구를 울리는 오케스트라가 될 것이라 상상한다.
ACC 레지던시는 해마다 함께 고민해야 할 주제를 제시해 왔다. 코로나 시국 이후 회복해야 할 가치인 바이오필리아(*생명사랑/2020, 2021), 포스트휴머니즘(2022)에 이어서, 2023년 ‘듣기의 미래’를 연구 및 창제작 주제로 설정했다. ACC 사운드랩의 중장기 연구 주제인 ‘듣기의 미래’는 그간 서구 철학의 입장에서 정의되어 온 ‘듣는 행위’를 아시아의 입장에서 다시 생각해 보는 프로젝트이다. 이와 연계한 ACC 레지던시 프로그램은 소리를 매체로 하는 사운드아트, 그리고 소리로 공간을 인식하고 이를 예술화하는 사운드스케이프(Sound+scape) 장르에 대한 다양한 실험과 시도를 지원하고자 했다. 기술, 연구, 예술 전 장르의 배경을 가진 전 세계의 340명의 지원자 중 9명의 참여자가 프로젝트에 합류했으며, 이들은 6개월간 광주에서 다양한 리서치를 수행하고 문화전당의 전문인력, 인프라를 바탕으로 각자의 프로젝트를 연구 및 창·제작했다.
전시와 더불어, 참여자들은 워크숍, 퍼포먼스 등 연계 프로그램을 통해 더욱 다양한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소개한다. ACC 레지던시는 전 세계의 창작자들과 함께 예리하게 현실을 감지하고 예술의 언어로 삶을 이야기하며 미래를 함께 고민하는 활동들을 이어갈 것이다.
작가소개
Kim Joon
In and Out : Homeland
Matt Gingold
The Absent Orkestra
Su Jin Bae & Jonathan Lemke
Tomorrowness, 2023
Yeom Inhwa
Innerveauty Spa
스테인리스 가구 테이블, 의자, 크리스탈 등), 가변크기
Lee Hyun Min
Between My Bardo and Your Purgatory
Jeong Ahram
Attention Exercise: The Sound
Jueng Hye Jin
Sound system for free mover
George Hiraoka Cloke
Earth Is All Melody
전시 연계프로그램
전시 공간 너머 깊숙한 내부에 위치해 보이지 않지만, 오늘도 연구, 창제작이 이루어지는 전당의 심장과 같은 공간에서 레지던시 참여자가 직접 작품에 관련된 연계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작품의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워크숍, 작품의 또 다른 모습인 퍼포먼스 등의 연계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각도에서 프로젝트들을 생생히 경험할 수 있다. 전당의 창제작 결과물을 선보이는 ACT Festival과 연계하며, 홈페이지와 현장을 통해 참여하실 수 있다.
-
<투모로우니스> 2023수진 배 & 요나탄 렘케15:40 (20분)B4 복합스튜디오
-
<디테임드>수진 배 & 요나탄 렘케16:00 (20분)B4 복합스튜디오
-
<마지막 소리들의 시>이현민16:30(10분)B4 복합스튜디오
-
<모드붕괴>매튜 깅골드17:00(15분)B2 복합 2관
-
<소마의 정원>염인화 & 조지 히라오카 클로크17:30(10분)B2 복합 2관
-
< Worship >이현민14:00, 16:00(7분)B4 복합스튜디오
<관심연습> Attention Exercise 정아람 11.26.(일) 15:00 B4 복합스튜디오 |
<입에서 입으로> Mouth to mounth 정혜진 11.29.(수) 18:20 B4 복합스튜디오 |
공간정보
문화창조원, 문화창조원 B4 복합스튜디오
진행중인 전시
-
자세히보기
< 아시아문화박물관 상설전시 >
Asia Culture Museum Permanent Exhibitions2021.11.25(Thu) - 2025.2.2(Sun)
상설전시
-
자세히보기
문화정보원 상설전시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건립 아카이브 <빛의 숲(Forest of Light)>
2022.11.23(Wed) - 2025.12.31(Wed)
상설전시
-
자세히보기
천일야화의 길
2024.1.8(Mon) - 2026.2.1(Sun)
상설전시
-
자세히보기
몬순으로 열린 세계: 동남아시아의 항구도시
2024.1.30(Tue) - 2026.2.1(Sun)
상설전시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