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사진작가가 바라본 근현대 건축 풍경

이번 아시아문화박물관 기획전시는 대한민국 근현대 건축의 변화 과정과 그 안에 담긴 우리 삶의 단면을 조명하는 전시입니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는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년 동안 ‘한국의 사진가’라는 주제로 사진 작품을 수집했습니다. 이 중 근현대 건축을 담은 전재홍, 김기찬, 이정록, 조춘만 사진작가의 작품을 선별하여 선보이고자 합니다.

사진작가가 바라본 근현대 건축 풍경
  • 기간2023.7.20.(목) ~ 9.20.(수)
  • 시간(화-일)10:00 ~ 18:00
    (수,토)10:00 ~ 20:00
    * 매주 월요일 휴관
  • 장소아시아문화박물관 기획전시실 2
  • 대상모든 연령
  • 가격 무료
  • 예매자유 관람
  • 문의1899-5566

소개
사진작가가 바라본 근현대 건축 풍경
이번 아시아문화박물관 기획전시는 대한민국 근현대 건축의 변화 과정과 그 안에 담긴 우리 삶의 단면을 조명하는 전시입니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는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년 동안 ‘한국의 사진가’라는 주제로 사진 작품을 수집했습니다. 이 중 근현대 건축을 담은 전재홍, 김기찬, 이정록, 조춘만 사진작가의 작품을 선별하여 선보이고자 합니다.

대한민국 근현대 건축은 사회·문화와 산업구조의 영향을 받아 변해왔습니다. 개항 이후 일제 강점기에는 일본의 자원 수탈을 위한 기반 시설을 건설하였습니다. 광복 이후 도시는 증가하는 인구로 인해 공동주택의 수요가 늘어났으며, 농촌의 전통 가옥은 ‘새마을 운동’이라는 생활환경 개선 사업으로 서양의 주거 양식을 차용한 독특한 형태의 가옥으로 변해갔습니다. 이후 1980년대에는 중공업 중심으로 산업 구조가 변화하여 대규모 산업 건물을 건설하였습니다.

이번 전시는 이러한 대한민국 근현대 건축의 변화를 네 명의 서로 다른 작가의 시선이 담긴 사진을 통해 바라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작품 안에 담긴 그 시대의 사회상과 우리 삶의 흔적을 경험하시길 바랍니다.
전시작품
일제 강점기 건축과 시대의 흔적전재홍
개항 이후에는 일본식과 서양식의 건물이 건설되었습니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는 토지, 곡물, 자본 등을 수탈하기 위해 국책·금융회사가 설립되었으며, 지역 거점에 철도를 비롯하여 대농장을 보유한 일본인 지주의 저택과 창고가 곳곳에 지어졌습니다. 전재홍 작가는 이러한 일제 강점기 근대 건축이 현재 어떤 모습으로 남아 있는지를 사진으로 담았습니다.
전재홍(1960 ~)

2004년 ‘일제 쌀 농장 건물’ 전시를 시작으로 2021년 ‘제국의 휴먼’ 전시까지 전라도와 충청도 일대 일제 강점기의 흔적을 꾸준히 기록해 오고 있다. 2021년에는 일본 제국주의 피해자들을 기록한 ‘제국의 휴먼’, ‘제국의 평야’, ‘제국의 바벨탑’ 3개 시리즈를 담은 『LITTLE BOY(2021)』를 발간하였다.

상상하는 작가 안규철
광복 이후, 우리 삶의 터전김기찬
전통적인 우리 삶의 터전은 초가집과 기와집으로 이루어졌습니다. 광복과 전쟁 이후 재건 과정에서 서울에서는 증가하는 인구를 수용하기 위해 기존의 단독주택 대신 공동주택의 수요가 늘어났습니다. 김기찬 작가는 196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서울 일대의 초가집, 기와집, 판잣집 등 도시화와 현대화로 인해 변해가는 서울의 모습과 그 안에서 담긴 우리 삶의 모습을 보여주고자 하였습니다.
김기찬(1938~2005)

1968년부터 2005년 68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30여 년 동안 변화하는 서울의 모습을 기록하였다. '골목 안 풍경'을 테마로 한 개인전을 여섯 차례 개최했으며, 같은 제목의 사진집 시리즈와 『역전 풍경(2003)』 을 발간하였다.

상상하는 작가 안규철
새마을 운동 속 변화하는 농촌 가옥이정록
1970년대 이후 도시와 농촌의 생활환경 격차가 심해지자‘새마을 운동’이라는 획일화되고 규격화된 국가 주도의 농촌 생활환경 개선 운동으로 초가집이나 기와집의 전통적인 농촌 주택들은 ‘이태리식’이라고 불리는 지붕 형태를 차용한 독특한 형태로 변화해 갔습니다. 이정록 작가는 이러한 과정 속에서 전통적인 건물 양식과 외부에서 들어온 양식이 어떻게 혼합되어 변해가는지를 기록하였습니다.
이정록(1971 ~)

1970년대부터 새마을 일환으로 진행된 농촌주택 개선사업으로 인해 변화되어 가는 전통 가옥의 모습을 기록하였다. 대표적 연작으로 ‘남녘땅’, ‘Glocal site’, ‘생명나무’, ‘Nabi’ 등이 있으며, 그의 작품을 담은 『수상한 풍경(2019)』을 발간하였다.

상상하는 작가 안규철
경제개발 계획과 산업경관의 변화조춘만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에 대한민국은 2․3차 경제개발 계획을 통해 산업 구조의 고도화를 추진하였습니다. 이후 1980년대부터는 농업에서 중공업으로의 급격한 산업 구조 변화가 일어나며 울산, 여수 등에 대규모의 산업단지가 조성되었습니다.
조춘만 작가는 산업화 과정에서 건설된 철강‧제철, 석유‧화학 시설 등의 건축물을 기록했습니다.
조춘만(1956~)

1974년 18세부터 배관용접공으로 산업현장에서 일한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의 산업시설물(철강, 제철, 자동차, 석유 등 대공업단지)을 기록한 ‘Industry Korea’ 연작으로 여러 차례 개인전을 가졌다. 지금까지 『Townscape(2001)』, 『조춘만의 중공업(2014)』, 『Völklingen 산업의 자연사(2018)』 등을 발간하였다.

상상하는 작가 안규철
공간정보

문화정보원, 아시아문화박물관 기획전시실 2

SNS공유

고객님께서 입력하신 예매자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예매자 정보
성명 ACC
성별
생년월일
연락처
이메일

ACC WEBZINE

웹진 구독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활용 동의가 필요합니다.

수집내용

  1. 1. 수집이용목적: ‘웹진ACC’ 발송
  2. 2. 수집항목: 이메일 주소
  3. 3. 보유(이용)기간: 2년
  4. 4. 동의거부에 따른 불이익:
    개인정보 수집 동의를 거부하실 수 있습니다. 다만,
    동의하지 않을 경우 ‘웹진ACC’를 받아보실 수 없습니다.
    개인정보는 위 수집·이용 목적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웹진을 포함한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 DM발송은 ACC홈페이지 회원가입을 통해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ACC 집콕꾸러미 온라인 이벤트

확인된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주시고 참여해주시기 바랍니다.

정보확인

  1. 이름: [미등록]
  2. 연락처: [미등록]
  3. 주소: [미등록]